ADVERTISEMENT

미 금리 종착지는 어디…Fed 양분에 시장 혼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2면

5%냐 7%냐. 미국 기준금리의 최종 종착지를 둘러싼 이견에 금융시장이 혼돈 모드다. 기준금리 인상의 고삐를 쥔 연방준비제도(Fed) 내부에서 흘러나오는 목소리의 온도 차가 극명한 탓이다.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을 잡는 데 5%면 충분하다는 입장과 최대 7%까지도 올라갈 수 있다는 주장까지 제기되고 있다. 단서는 이번 주 중 발표되는 11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의사록이다. 다만 변수는 있다. 다음 달 13~14일(현지시간) 열리는 FOMC 이전에 발표될 11월 미국 물가가 Fed의 기대만큼 진정되지 않으면 시장의 전망은 시계 제로에 빠질 수 있다.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

지난 19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경기가 예상대로 진행되면 0.75~1.0%포인트의 추가 금리 인상(긴축)이 있을 것”이라며 “이 정도 수준의 정책 금리가 합리적인 기간 동안에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에 충분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12월 FOMC와 관련해 보스틱 총재는 “향후 미국 경제가 몇 주 동안 예상대로만 흘러간다면, 다음 FOMC 회의에선 0.75%포인트 인상에서 멀어지는 것이 편안할 것”이라고 말했다. Fed가 4차례 연속 자이언트 스텝(0.75%포인트 인상)을 밟았지만, 이번에는 최대 0.5%포인트(빅스텝) 인상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현재 미국의 기준금리는 연 3.75~4.0%다. 그의 말대로면 내년 미국 기준금리 상단은 연 4.75% 혹은 5.0%가 될 가능성이 크다.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

하지만 시장은 혼란스럽다. 며칠 전까지만 해도 Fed 내에서 극단적인 매파(통화 긴축)적 목소리가 나왔기 때문이다. 강성 매파로 분류되는 제임스 불러드 세인트루이스 연은 총재는 지난 17일 “(물가가) 충분히 제약적인 수준에 도달하려면 금리를 더 올려야 한다”며 테일러 준칙에 따라 기준금리가 최대 7%까지 올라갈 수 있음을 시사했다. 테일러 준칙은 기준금리를 결정할 때 경제성장률과 물가 변수를 적용해 산출한 적정금리를 엄격하게 따라야 한다는 원칙이다.

제롬 파월

제롬 파월

특히 불러드 총재는 지금까지 Fed가 이어온 통화 정책이 인플레에 끼치는 영향력이 ‘제한적’이었다고 지적했다. 오히려 더 밀어붙여야 한다는 의미다. 그는 “기준금리를 최소한 5.00~5.25% 수준까지 인상할 필요가 있다”며 “금리가 5%를 넘어야 통화 정책이 경제 활동을 충분히 제약하는 영역에 이를 것”이라고 말했다.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도 “인플레 상승세가 멈췄다는 것이 확실해질 때까지 금리를 계속 올려야 한다”며 “Fed의 궁극적인 임무는 인플레 억제”라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Fed가 기준금리를 연 7%대까지 극단적으로 올릴 가능성은 작게 보지만, Fed 인사들의 엇갈리는 목소리에 혼란은 이어지고 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내년 6월 기준금리 상단이 연 5.25%에 이를 확률은 41.0%다. 5.0%(27.7%)와 5.5%(22.3%)도 적지 않다.

시장은 주요 경제지표와 각종 이벤트 결과를 예의주시하고 있다. 당장 이번 주부터 미국은 최대 쇼핑 기간인 블랙 프라이데이 기간에 돌입한다. 인플레에도 꺾이지 않던 미국의 소매판매 흐름이 이번 달에도 지속할지 주목된다. Fed가 가장 주의 깊게 살펴볼 11월 CPI 상승률은 12월 FOMC 직전인 다음 달 13일 발표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