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라이프 트렌드&] 한국임업진흥원, 편의성·정확도 높인 ‘임업통계지원 AI 챗봇’ 개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9면

‘밤 생산비’ 비교 결과도 소개

임업통계조사 정확도 제고를 위해 시범 도입한 AI 챗봇 시스템 화면.

임업통계조사 정확도 제고를 위해 시범 도입한 AI 챗봇 시스템 화면.

한국임업진흥원(이하 진흥원)이 산림청으로부터 수탁해 수행하는 임업통계조사의 효과적인 지원을 위해 ‘임업통계지원 AI 챗봇’을 최근 개발했다. 다년간 축적한 표본임가의 문의사항과 통계 조사 경험이 챗봇 개발의 밑바탕이 됐다. 진흥원은 올해 임업통계조사의 신규 표본 구축 사업에 챗봇을 시범 적용할 계획이다.

통계조사는 작성 내용이 많고 복잡할 뿐만 아니라 응답자가 가구의 경제상황에 대해 일계부에 직접 기입하기 때문에 혼란이 자주 발생한다. 이에 진흥원은 10년간 잦았던 문의사항 및 혼동하기 쉬운 항목에 대한 데이터를 분석한 후 이를 가장 쉽게 안내하기 위해 AI 챗봇 시스템을 개발했다.

통계조사 과정에 AI 챗봇 시스템이 적용될 경우 여러 긍정적 효과가 기대된다. 우선 응답자가 문항을 직접 기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각종 문의 및 건의사항에 대해 현장조사원 직접 투입 없이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문의 즉시 챗봇을 통해 응답할 수 있다. 이는 인력 효율화로 이어져 인건비를 절감하고, 응답자의 불편도 개선할 수 있다.

진흥원은 이처럼 챗봇 활용 등을 통해 편의성 및 정확도를 높인 통계조사의 결과를 수요자(임업인, 귀산촌 희망자 등)가 이해하기 쉽도록 다양한 이미지를 활용해 진흥원 SNS·블로그 등을 통해 제공하고 있다.

한편 진흥원은 지난해 임산물생산비조사 결과를 활용해 밤 생산비에 대해 고소득 임가와 일반 임가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를 최근 소개했다. 이에 따르면 밤을 재배하는 고소득 임가의 소득은 평균 1692만8000원으로, 일반 임가(235만2000원)보다 약 7.2배 높았다. 이러한 차이는 어디에서 기인하는 걸까.

고소득 임가는 재배규모(면적)의 경우 3.2ha로 일반 임가(2.7ha)보다 약 0.5ha 더 넓었고, 재배 본수는 약 262본 더 많았다. 밤 생산에 투입되는 비용(경영비)은 고소득 임가의 경우 732만9000원으로, 일반 임가(420만4000원)보다 약 1.7배 높았다. 밤 생산량은 고소득 임가가 일반 임가보다 약 3.2배 많았고, ‘특대’와 ‘대’ 품등 생산 비율도 더 높았다.

임산물생산비조사 결과를 활용한 밤 재배 고소득 임가와 일반 임가 비교 분석.

임산물생산비조사 결과를 활용한 밤 재배 고소득 임가와 일반 임가 비교 분석.

고소득 임가와 일반 임가의 밤 품등별 생산 비율.

고소득 임가와 일반 임가의 밤 품등별 생산 비율.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