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단독] "내 아픔이 위로되길"…상담사로 나선 장기기증 유가족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이눔아, 그렇게 몸이 안 좋은데 어떻게 알바를 간다는 거야?”

 2002년 11월 28일 저녁, 박상렬(75·여) 씨는 아들이 아르바이트를 가는 게 못마땅했다. 감기 몸살로 병원에 다녀온 둘째 아들 편준범(당시 25세) 씨는 잠시 눈을 붙인 뒤 차로 5분 거리에 있는 일터인 호프집으로 향했다. “조심히 다녀올게요.” 편씨가 엄마에게 남긴 마지막 말이었다.

이튿날 아침까지 돌아오지 않는 아들을 노심초사 기다리던 박씨에게 병원 관계자의 전화가 걸려왔다. “아드님이 교통사고를 당했습니다. 빨리 오세요.” “실패 확률이 90% 이상”이란 말을 듣고도 뇌수술에 동의했지만 돌아온 것은 뇌사 판정이었다. 그리고 이내 박씨 부부는 장기 기증을 결정했다. 박씨는 “마지막 가는 길에 무엇이라도 해주고 싶은 마음에 한 결정”이라며 “아르바이트를 보낸 것부터…엄청 자책했지만 7명의 생명을 살리고 떠났다는 게 그나마 위안이 됐다”고 말했다. 박씨는 “‘어딘가에 준범이가 살아있겠구나’라는 생각도 든다”고 말했다.

 준범씨가 떠난지 20년. 박씨는 ‘장기기증 유가족 동료상담가’라는 새로운 도전에 나섰다. 사랑의장기기증운동본부는 지난 18일 박씨를 포함한 5명의 장기기증 유가족이 동료상담가 교육을 수료했다고 밝혔다. 장기기증을 결정한 유가족들과 전화·대면 상담을 진행하며 상실감·죄책감으로 어려움을 겪는 이들을 돕는 역할이다. 박씨는 “11년만에 나간 유가족 모임에서 이루 말할 수 없는 위로를 받았다. 더 빨리 만났으면 좋았겠다고 생각했다”며 “가난해보지 않고는 가난을 말하지 말라는 말이 있듯, 경험해본 사람만 건넬 수 있는 위로가 있다. 제 비통함이 회복되어가는 과정이 선한 영향력으로 작용하면 좋겠다”며 교육에 참여한 동기를 설명했다.

故편준범 씨의 어릴 적 사진과 25세 때의 모습. 호탕한 성격의 미남이었던 편씨는 박씨가 만들어주는 수제비와 비빔국수를 아주 좋아했다. “엄마 진짜 맛있어요” 하는 목소리가 박씨는 아직도 귀에 선하다. 편씨는 노래를 잘했고 그림이나 만화를 잘 그려 남들을 기쁘게 하는 재능이 있었다. 박씨 제공

故편준범 씨의 어릴 적 사진과 25세 때의 모습. 호탕한 성격의 미남이었던 편씨는 박씨가 만들어주는 수제비와 비빔국수를 아주 좋아했다. “엄마 진짜 맛있어요” 하는 목소리가 박씨는 아직도 귀에 선하다. 편씨는 노래를 잘했고 그림이나 만화를 잘 그려 남들을 기쁘게 하는 재능이 있었다. 박씨 제공

 박씨가 상담사로 거듭나게 된 건 아들을 잃고 11년 만에 참여한 장기기증 유가족 모임의 영향이 컸다. 2013년 “한번만 나가보자”는 남편의 말에 박씨는 “거기 나가봤자 준범이 생각만 날 것 같다”고 고개를 저었다. 결국 남편 성화에 못이겨 나간 모임은 박씨의 삶을 바꿨다. 박씨는 2014년부터 장기기증 홍보활동가로 활동해 왔다.

“유가족이 유가족에게”…같은 입장에서 위로 되고파

지난 18일, 서울 서대문구 도너패밀리 사랑방에서 장기기증 유가족들이 동료상담사 교육을 받고 있다. 사랑의장기기증운동본부 제공

지난 18일, 서울 서대문구 도너패밀리 사랑방에서 장기기증 유가족들이 동료상담사 교육을 받고 있다. 사랑의장기기증운동본부 제공

 2015년 아들을 잃은 홍우기(73)씨도 상담사의 길을 택했다. 참여했다. 하나뿐인 아들 홍윤길(당시 33세) 씨는 상견례를 1주일 앞두고 뇌출혈로 뇌사 상태에 빠져 6명에게 장기를 기증하고 세상을 떠났다. 홍씨는 “당시에는 그냥 빨리 세상을 떠나고만 싶었다”며 “길 가다가 또래 젊은이들만 보면 눈물이 쏟아졌다. 친지들 결혼식에 갔다가 몰래 나와서 울곤 했다”고 말했다. 주변의 위로는 귀에 들어오지 않았다.

이때 홍씨의 소식을 들은 한 유가족이 홍씨의 집을 찾아왔다. 22세 아들을 잃은 지 8개월밖에 되지 않은 아버지였다. 함께 차를 타고 나가서 드라이브하고 점심을 먹고 커피를 마셨다. 커피를 마시면서 그는 “형님도 힘들 것 저도 압니다. 그래도 우리 서로 이야기 터놓고 헤쳐나갑시다”라고 말했다.

홍씨는 “당시의 경험은 이 강의를 제가 들어야겠다고 결심한 이유”라며 “다른 유가족과 유대관계를 가지고 손이라도 잡아주고 싶은 바람이 있었기에 기꺼이 교육에 참여했다”고 말했다.

지난 2015년 故홍윤길 씨(당시 33세)는 상견례를 닷새 앞두고 뇌출혈로 뇌사 상태에 빠졌다. 한화 이글스의 팬이었고 주말마다 부모님을 찾는 효자였다고 한다. 아버지 홍우기(72)씨는 ″평소 품행을 생각하면 아들은 그것 바랄 것″이라는 생각에 장기 기증을 결정했다. 홍우기 씨 제공

지난 2015년 故홍윤길 씨(당시 33세)는 상견례를 닷새 앞두고 뇌출혈로 뇌사 상태에 빠졌다. 한화 이글스의 팬이었고 주말마다 부모님을 찾는 효자였다고 한다. 아버지 홍우기(72)씨는 ″평소 품행을 생각하면 아들은 그것 바랄 것″이라는 생각에 장기 기증을 결정했다. 홍우기 씨 제공

 2009년 9살의 나이에 교통사고로 아버지를 잃은 김조이(21)씨도 교육에 참여했다. 김씨는 “같은 입장으로서 형이면 형, 오빠면 오빠답게 경청해주고 조언해줄 수 있을 것 같아서 신청하게 됐다. 가족을 잃은 아픔을 공감해줄 수 있는 사람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교육 참여자들은 교육을 받으면서 자신의 묵은 아픔을 삭일 수 있었다고 했다. 박씨는 “사실 처음에 병원에서 들었던 생각은 ‘왜 하필 내 아들이냐’ 하는 분노였다”며 “수업에서 슬픔의 첫 단계가 분노와 부정이라는 이론을 배웠는데, ‘나도 그랬는데…’하는 생각이 들어 공감이 갔다”고 말했다.

이들의 교육 맡은 양은숙 상담교육박사는 “이미 내적 자원을 가지고 있는 선배 도너패밀리들이 상담가 교육 통해 유가족 회복에 도움 줄 수 있을 것”이라며 “선경험을 나누는 것만으로도 유가족의 심리 치유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조이(21)씨와 아버지 故김기호 목사의 어릴 적 사진. 김 목사는 경찰서에서 외국인 피의자들을 위한 통역 봉사를 했다. 늘 배려가 넘치는 성격이어서 사람들이 좋아했다고 한다. 9살 때 김조이씨가 여자아이와 싸워 얼굴에 상처를 내자, 온 가족이 함께 집에 찾아가서 사과했다. 평소 장기기증의 뜻을 품고 있던 김 목사는 교통사고로 뇌사 판정을 받고 6명에게 장기를 기증하고 떠났다. 김조이 씨 제공

김조이(21)씨와 아버지 故김기호 목사의 어릴 적 사진. 김 목사는 경찰서에서 외국인 피의자들을 위한 통역 봉사를 했다. 늘 배려가 넘치는 성격이어서 사람들이 좋아했다고 한다. 9살 때 김조이씨가 여자아이와 싸워 얼굴에 상처를 내자, 온 가족이 함께 집에 찾아가서 사과했다. 평소 장기기증의 뜻을 품고 있던 김 목사는 교통사고로 뇌사 판정을 받고 6명에게 장기를 기증하고 떠났다. 김조이 씨 제공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