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반도 기후변화 막으려면 北 '땔감' 해결해야"...원주 한라대 컨퍼런스

중앙일보

입력

김응권 한라대 총장이 지난 7일 '그린데탕트 남북 산림협력과 북한 민생에너지'를 주제로 컨퍼런스에서 격려사를 하는 모습. 사진 원주 한라대 제공

김응권 한라대 총장이 지난 7일 '그린데탕트 남북 산림협력과 북한 민생에너지'를 주제로 컨퍼런스에서 격려사를 하는 모습. 사진 원주 한라대 제공

황폐해진 북한 지역 산림을 복구하기 위한 근본 대책으로 주민들의 땔감 의존도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반도에서 기후변화의 피해를 막기 위해 '그린데탕트' 정책은 북한 주민들의 민생에너지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서 출발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신정수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지난 7일 코엑스에서 열린 원주 한라대학교(총장 김응권)와 강원통일교육센터가 '그린데탕트 남북 산림협력과 북한 민생에너지'를 주제로 공동 주최한 컨퍼런스에서 "코로나19의 영향에도 북한의 민생 에너지 분야는 상대적으로 타격이 덜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주민들의 자구 노력에서 기인한 효과로 보인다"고 진단했다. 이날 발표된 북한 주민들의 에너지 소비실태 분석한 보고서를 통해서다.

신 연구위원은 "대북제재와 코로나19에 따른 봉쇄로 2020년 국내총생산이 4.5% 감소하는 등 북한의 경제 지표가 전반적으로 대폭 하락하는 추세에도 불구하고 민생(가정 부문) 에너지 소비는 2019년에 비해 1.8% 감소하는 데 그쳤다"면서 "북한 주민들이 나무류 등의 에너지원을 자체 조달해 에너지 소비 감소세를 완화시킨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구멍탄 및 석탄 소비량이 각각 2.4%, 2.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난 북한의 민생 에너지 소비 관련 통계(2020년 기준)를 근거로 들었다.

참석자들은 북한 주민들이 땔감 채취 등을 통해 에너지 문제를 해결했지만, 그만큼 북한의 산림 황폐화가 계속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오삼언 국립산림과학원 연구원은 이날 '북한의 산림 황폐화 현황'을 주제로 한 발표에서 "북한의 산림 황폐화 현상은 단순히 숲에서 나무가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오 연구원은 "북한의 연평균 기온상승이 남한보다 1.3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면서 "황폐화된 북한의 산림 문제가 한반도 기후변화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에도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반도의 기후변화에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남북 간 산림협력이 필요한 시점이라는 지적이다. 윤석열 정부도 남북 간 산림·식수·위생 분야의 협력을 중심으로 협력을 추진하는 '그린 데탕트'를 110대 국정과제에 포함시켰다. 정부는 북한의 비핵화 전에라도 대북제재에 해당하지 않는 분야 위주로 적극적으로 진행한다는 입장이다.

이날 축사를 맡은 인요한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국제진료센터 소장은 보건·의료 지원을 위해 30여 차례 방북했던 경험을 떠올리면서 "에너지 문제 해결없이 북한의 숲 문제 해결은 없다"고 강조했다. 주최 측으로 참석한 정대진 원주 한라대 교수는 "기후변화의 피해가 남북한을 가리지 않고 닥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하면 북한의 산림 황폐화를 막는 일은 북한의 핵과 미사일 도발을 막는 일만큼이나 중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한라대 동북아경제연구원(원장 조건식)은 '그린데탕트' 논의를 지속해서 발전시키기 위해 오는 19일 원주 유알컬처파크에서 '남북 강원 그린데탕트 포럼'을 개최할 예정이다. 이 포럼에는 북한과 산림복구 국제협력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한스자이델재단을 비롯해 각계 전문가 4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