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러시아군 보급로 심각한 타격 …‘전술핵 사용’ 강경 여론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지난 8일 러시아 본토와 크림반도를 잇는 크림대교의 하층 도로교에서 트럭이 폭발해 다리가 파손되고 상층 철도교를 지나던 유조열차에 불이 붙은 모습을 촬영한 위성사진. [EPA=연합뉴스]

지난 8일 러시아 본토와 크림반도를 잇는 크림대교의 하층 도로교에서 트럭이 폭발해 다리가 파손되고 상층 철도교를 지나던 유조열차에 불이 붙은 모습을 촬영한 위성사진. [EPA=연합뉴스]

러시아 본토와 크림반도 사이의 유일한 연결로인 크림대교(케르치해협대교)에서 8일 오전 6시(현지시간) 폭발 사고가 발생해 다리 일부가 파손되고 최소 3명이 숨졌다고 러시아 당국이 밝혔다. 그간 ‘푸틴의 자부심’으로 불려온 크림대교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70세 생일 다음 날 공격당하자, 이를 모욕으로 받아들인 러시아 강경파들은 우크라이나에 대한 ‘결정적인 조치’를 촉구하고 있다.

관련기사

이날 로이터통신과 가디언·뉴욕타임스(NYT) 등 주요 외신은 크림대교가 러시아 본토와 크림반도를 잇는 핵심 군사보급로이자 우크라이나 남부 침공부대의 이동로라는 점을 강조하며 향후 러시아군의 보급은 물론 병력 증원과 순환에도 차질을 빚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크림대교는 길이 19㎞로 유럽에서 가장 긴 교량이다. 상층 철도교와 하층 왕복 4차로 도로교의 복층 구조다. 러시아가 2014년 크림반도를 강제 병합한 뒤인 2016년 착공돼 도로교는 2018년, 철도교는 2019년 각각 개통됐다. 크림대교 건설에 70억 달러(약 10조원)를 쏟은 푸틴 대통령은 도로교 개통식 다음 날 오렌지색 트럭을 직접 몰고 다리를 건너는 이벤트를 연출해 ‘푸틴의 다리’라는 상징성을 부각했다.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그래픽=김경진 기자 capkim@joongang.co.kr

크림대교 폭발 지점

크림대교 폭발 지점

로이터 등에 따르면 이번 사고는 8일 크림대교의 하층 도로교를 지나던 트럭에 실린 폭탄이 터지며 1차 폭발이 일어났다. 이때 발생한 불길 때문에 상층 철도교를 지나던 유조열차의 저장탱크 7개가 화염에 휩싸이며 폭발했고, 이로 인해 다리 일부가 파손됐다. 익명을 요구한 우크라이나 고위 관계자는 NYT에 “우크라이나 정보국이 이번 공격을 조직했으며, 트럭에 탑재된 폭탄과 관련이 있다”고 말했다.

러시아 국영 타스통신에 따르면 이날 저녁 철도교와 도로교의 통행은 일부 재개됐다. CNN은 크림대교 폭발 영상을 확인한 결과, 차량용 교량 서쪽 방향 차로는 파괴됐지만, 동쪽 방향은 별 피해가 없다고 전했다. 하지만 덴마크 교량 설계·건축 전문업체 코위(COWI)의 데이비드 매켄지 기술이사는 월스트리트저널(WSJ)에 “폭발로 인해 크림대교의 구조가 손상돼 완전 복구까진 수개월이 걸릴 수 있다”고 내다봤다.

NYT는 크림대교의 기능이 축소되면 크림반도뿐 아니라 우크라이나 남부에서 작전 중인 러시아군에 대한 식량·연료·장비·탄약 공급이 제한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크림반도 행정부는 폭발 직후 이 지역에 1회 식료품 구입량을 3㎏으로 제한했다. 가디언은 “크림대교 대신 우크라이나 남부 지역까지 연결된 철도나 선박·항공편을 이용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지만, 공급 안정성과 용량에서 차이가 크다”고 지적했다. NYT는 러시아 국수주의 성향의 텔레그램 채널인 리바르가 “이번 사건에 대해선 ‘결정적 조치’를 내려야 한다”며 “국민은 복수를 요구하고 있다”고 부추기고 있다고 전했다. 푸틴에게 체면을 되살리기 위해 우크라이나를 상대로 전술핵무기 사용 등 극단적인 대응에 나서라고 압박하는 모습이다.

폭발사고의 배후를 우크라이나로 지목하고 보복을 공언한 러시아는 8일 밤과 9일 새벽 우크라이나 남동쪽 자포리자에 미사일을 발사했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은 텔레그램을 통해 러시아의 자포리자 주거지 공격으로 12명이 사망하고 49명이 다쳤다고 밝혔다.

크림대교 폭발을 주제로 만든 우표 모양의 작품 앞에서 8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시민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AFP=연합뉴스]

크림대교 폭발을 주제로 만든 우표 모양의 작품 앞에서 8일(현지시간) 우크라이나 시민들이 기념사진을 찍고 있다. [AFP=연합뉴스]

바로 이날 러시아는 우크라이나 전선을 책임지는 ‘특별군사작전 지역 합동군 총사령관’을 개전 이래 세 번째로 교체했다. 타스통신 등에 따르면 러시아 국방부는 지난 6월 임명된 겐나디 지드코 육군 상장(삼성장군)을 이날 경질하고 후임으로 세르게이 수로비킨 대장(우주항공군 사령관)을 임명했다고 밝혔다. 러시아는 개전 두 달 뒤인 4월에야 알렉산드르 드보르니코프 육군 대장을 첫 총사령관에 임명했지만 두 달 만에 지드코로 교체했었다.

수로비킨은 러시아의 승리를 위해서라면 비인도적인 행위를 서슴지 않는 ‘국수주의의 아이콘’이다. 수로비킨은 2000년대 초 제2차 체첸 전쟁과 2017년 시리아 내전 등을 이끌었는데 모두 민간인과 군인을 가리지 않고 무자비한 폭격을 퍼부어 전쟁범죄 논란에 휩싸였다. 하지만 푸틴의 또 다른 측근으로 용병기업(PMC) 바그너그룹(그루파 바그네르)을 운영하는 예프게니 프리고진은 “수로비킨은 가장 유능한 지휘관으로 조국에 충성하기 위해 태어난 전설적 인물”이라고 칭찬했다.

알자지라는 “수로비킨의 임명으로 러시아군의 우크라이나 군사 작전에 변화가 있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안보·국방 전문지 스위스 군사저널의 알렉상드르 보트라베르 편집장은 “우크라이나 전쟁에서 러시아군이 정보 기술 부족 등으로 내내 지휘·통제 체계가 통합되지 않았는데, 앞으로 수로비킨이 작전을 진두지휘하면서 이를 해결하고 동·남쪽 중 하나 등 특정 지역에 전력을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