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사이버보안 신규 인력 5년간 4만명 키운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2면

‘사이버보안 인재 10만명 양성’을 국정 과제로 제시한 윤석열 정부가 13일 인력 양성 청사진을 공개했다. 주무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날 윤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구체적인 계획을 발표했다. 5년간 신규 인력을 초급·중급·고급 단계로 나눠서 육성하고(4만명), 기존 인력을 재교육(6만명)하겠다는 게 골자다.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이 빨라지면서 중소기업 등 보안이 취약한 고리부터 연쇄 피해가 발생할 우려도 커졌다. 대표적인 사이버 공격인 글로벌 랜섬웨어 피해 금액을 살펴보면 지난해 23조원 수준에서 2031년에는 312조원으로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 랜섬웨어 공격은 해커가 데이터를 인질로 삼아 협박하는 공격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도 사이버보안 일자리 50만개를 신규 창출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임종인 고려대학교 정보보호대학원 석좌교수는 “금융이나 반도체 등 고도화된 산업일수록 해당 산업과 보안 모두를 이해하는 인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정부의 육성 방안은 한마디로 정리하면 인재 풀의 양과 질을 동시에 늘리겠다는 계획이다. 우선 클라우드, 가상융합경제 등 사이버 환경 변화에 대응해 정보보호특성화대학(현재 3개) 융합보안대학원(현재 8개)을 각각 10개, 12개로 확대 개편한다.

IT 개발인력을 선발해 보안 전문교육을 한 뒤 보안 소프트웨어를 전문적으로 개발하는 ‘S-개발자’ 과정, 화이트해커 육성 프로그램인 ‘화이트햇 스쿨’ 과정도 신설하겠다고 밝혔다. 기업이 직접 인재를 선발하고 필요에 맞춰 교육하는 ‘시큐리티 아카데미’도 신설한다. 정부는 이를 지원하는 역할을 맡는다는 계획이다.

업계와 학계에서는 이와 관련 “사이버보안은 다른 어떤 분야보다 역량을 갖춘 전문인력이 중요하기 때문에, 인재 양성 계획이 나온 건 고무적”이라면서도 “과거의 정책을 답습하지 않으려면 구체적인 계획이 필요하다”는 반응이 나온다.

산-학을 연계하는 시큐리티 아카데미는 기업이 인력 계획을 구체적으로 세우고, 여기에 따라 교육이 끝나면 해당 인력을 흡수할 수 있다는 가정하에 만들어진 정책이다. 그러나 국내 보안 업체 중에서는 2~3년 후의 인력 계획을 꾸준히 세우고 규모 있게 투자하기가 사실상 버거운 곳이 많다. 유지연 상명대 휴먼지능정보공학과 교수도 “사이버보안은 다양한 세부 영역으로 나뉘는데, 각기 필요로 하는 역량 수준이 다르다”며 “단기간에 필요 인력을 배치하기 위해서는 명확한 수요가 있어야 하고 배치에 대한 계획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