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문 김종민 "文만 믿다가 국민과 멀어졌다…친문 반성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중앙포토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중앙포토

지방선거 패배로 혼란에 빠진 더불어민주당이 이재명 상임고문의 전당대회 출마 여부를 놓고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친문(친문재인) 핵심으로 분류되는 김종민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당에 필요한 것은 혁신과 통합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단순한 지방선거, 대선 반성이 아닌 문재인 정부 5년 전체에 대한 통찰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의원은 ”문재인 대통령이 알아서 하겠지. 이렇게 안이한 생각을 하고 있다가 결국은 국민에게 멀어지게 됐다”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6일 JTBC ‘썰전라이브’에 출연해 ‘구체적으로 친문의 잘못이 무엇인가’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먼저 김 의원은 이재명 상임고문과 그의 측근들의 반성을 촉구했다. 김 의원은 “대통령 선거, 지방선거는 누가 뭐래도 이재명 후보가 전면에 나섰다. 그러면 이 의원과 이 의원과 가까운 분들이 먼저 어떤 문제점이 있었다, 스스로 반성하는 걸 내놓고 다른 사람들의 의견을 보태야 한다”고 했다.

이어 “그러면 문재인 정부 5년은 또 잘했냐”라며 “그 과정에서 친문 의원들이 과연 국정운영과 당운영을 잘한 거냐, 이 점에 대해서는 책임 있는 친문 의원들이 자기반성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 반성에 본인도 포함되냐’는 질문에 김 의원은 “당연하다”고 답했다. 이어 ‘친문은 구체적으로 뭘 잘못했냐’는 질문에 ‘최저임금’과 ‘부동산 문제’를 예를 들며 두 가지가 잘못됐다고 했다.

그는 ‘최저임금’과 관련해선 문 정부가 가진 문제점에 대해 적극적으로 반성하고 비판해야 했었다고 말했다. ‘부동산 문제’에 대해선 적극적으로문제를 제기하고 비판하며 문제들이 개선되는 과정이 부족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 의원은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사망트라우마 때문에 문재인 정부가 잘못한 점을 강하게 지적하지 못한 이유로 들었다.

김 의원은 “노사모(노무현을 사랑하는 모임) 분들이 ‘노무현도 우리가 비판할 건 비판해야지’ 하다가 이명박 정권에 희생당했다 이런 트라우마가 있었다. 그래서 문재인 정부는 우리가 잘못해도 끝까지 우리가 보호하자는 게 있었다. 사실 그게 문 정부에 부담이 되거나,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을 저는 했었다”고 했다.

특히 그는 “친문 의원들이 정권의 핵심적인 역할을 해야 했지만 소홀했다”며 “문 대통령만 믿고 대통령이 알아서 할 것이라는 안이한 생각을 하고 있다가 결국은 국민에게 멀어지게 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