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관악구에서 브런치 카페 운영을 시작한 지 2년째인 장모(30)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초기 때와 비교해 요즘 손님이 조금씩 늘고 있는데도 걱정은 더 커졌다. 코로나19가 한창이던 1년 전과 비교해 오히려 마진이 크게 줄어서다. 인건비ㆍ임대료가 올랐지만 원재료 가격이 가장 문제였다.
장씨는 “처음 카페 시작할 때 3000원이던 계란 한 판 가격이 이제 8000원대다. 밀가루 때문인지 빵값도 너무 올랐고 채소도 그렇다”라며 “아무리 원재료가 비싸졌다고 해도 고객이 알아주는 건 아니니까 판매가를 올리기가 쉽지 않다. 손님들이 덜 찾는 메뉴부터 가격을 올려야 하나 고민 중”이라고 말했다.
2030세대가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초고물가 충격이 다가오고 있다. 사회생활을 갓 시작했거나, 길어야 15년 안팎인 이들은 소비자물가가 해마다 1~2%씩 오르는 저물가에 익숙하다. 지금 코앞에 닥친 연 4%가 넘는 고물가는 ‘미지의 세계’다. 높은 물가엔 당연히 높은 금리가 따라붙는다. 문제는 이제 시작이란 점이다.
21일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취임식에서 “인플레이션 압력이 한층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경기 회복세가 기존 전망보다는 약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국제통화기금(IMF) 같은 주요 경제전망기관은 물론 한은도 올해 4%대 소비자물가 상승 전망을 공식화하고 있다. 고유가 위기, 글로벌 금융위기가 연쇄적으로 닥쳤던 2008년(4.7%) 이후 14년 만의 ‘고물가 쇼크’를 예고했다.
한국만이 아닌 전 세계적 현상이다.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 주요 곡창지대의 이상 기후, 코로나19로 인한 인력 수급난, 공급망 교란 같은 여러 악재가 한꺼번에 터졌다. 석유류와 금속ㆍ곡물을 중심으로 한 이번 고물가 위기가 단기간 내 해소될 일이 아니란 의미다.
우크라이나 사태 직격탄을 일찌감치 맞은 유럽 상황은 더 심각하다. 영국ㆍ독일ㆍ뉴질랜드 등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990년 이후 30여 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올랐다. 남 일이 아니다. 소규모 개방경제인 한국은 이들 국가보다 대외 변수에 훨씬 취약하다. 지난해 기준 70.1%에 이르는 무역 의존도(국내총생산 대비 수출입) 때문이다. 미국ㆍ중국ㆍ일본 등 다른 주요국의 배가 넘는다.
이날 한은이 발표한 생산자물가지수 통계도 지금의 물가난은 ‘서막’에 불과하다는 점을 보여준다. 3월 생산자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8.8%, 전월 대비 1.3% 오르며 역대 최고치(116.46, 2015년=100)를 찍었다. 생산물가는 1~3개월 후 소비자물가에 반영되는 선행지표다. 3월 4.1%로 이미 10년래 최고치로 올라선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앞으로 더 치솟는다는 얘기다. 내리막을 걷고 있는 원화가치(환율 상승)도 물가 부담을 키우고 있다.
고물가에 자동으로 따라붙는 고금리도 위기를 키우는 요소다. 시장금리 상승세에 가속도가 붙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시장 지표금리 역할을 하는 국고채 3년물 금리는 21일 기준 연 2.927%로 3% 선에 바짝 다가섰다. 1년 전 1.1%에서 2%포인트 가까이 올랐다.
추가 상승은 기정사실이다. 고물가에 놀란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가 빠른 속도로 기준금리 인상과 양적긴축에 나서겠다고 예고했고, 신임 이창용 한은 총재 역시 “인기는 없더라도 (금리 인상) 시그널을 줘서 물가가 더 크게 오르지 않도록 전념하겠다”(지난 19일 국회 인사청문회)고 못 박았다.
연 1~2%대 저물가ㆍ저금리에 익숙한 2030세대가 받을 충격은 클 수밖에 없다. ‘영끌(영혼을 끌어모아)’ 대출로 부동산ㆍ주식 등에 돈을 쏟아부은 젊은 투자족은 특히 비상이다. 사회에 단단히 자리 잡지도, 자산을 제대로 축적하지도 못한 이들을 지탱할 제대로 된 안전판이 보이지 않아서다.
과거 고금리 시대보다 여건은 더 나쁘다. 구조적 저성장과 맞물려서다. 지난 19일(현지시간) IMF는 올해 한국의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4%로 전망하면서 경제성장률 예측치는 2.5%로 낮춰잡았다. 벌이보다 더 빠른 속도로 물가ㆍ금리가 상승하며 세대별ㆍ계층별 양극화를 더 부추길 수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강경훈 동국대 경영학과 교수는 “싼 금리로 대출을 받아 주식ㆍ부동산ㆍ코인 등 투자처를 잘 찾아서 레버리지를 일으킨다는 건 현재 젊은층에 있어 움직일 수 없는 신념과도 같은데 그 공식이 무너지게 생겼다”며 “IMF 외환위기 등을 거치며 30%대 고금리를 겪어본 중장년층과 분명한 차이점”이라고 짚었다. 그는 이어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일이 발생하면 패닉으로 이어진다. 외환ㆍ금융 자유화 직후 개인 신용 개념이 없었던 때 발생한 2003~2004년 카드 사태가 대표적”이라며 “이와 유사한 자산시장 교란, 경제 혼란이 우려된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