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꽃 숲’ 만들어 꿀벌 실종 예방, 충남의 실험 성공할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18면

충남 보령시 성주면 개화리 일대에 조성한 아까시나무 밀원숲. [사진 충남도]

충남 보령시 성주면 개화리 일대에 조성한 아까시나무 밀원숲. [사진 충남도]

전국적으로 꿀벌 실종 사태가 잇따르는 가운데 충남도가 대규모 밀원(蜜源)숲을 만들고 있다. 벌이 꿀을 빨아오는 원천 숲을 만들어 양봉 농가를 지원하고 자연생태계 건전성을 유지하겠다는 취지다.

7일 충남도에 따르면 도는 2018년 밀원 숲 조성 5개년 계획을 세운 후 2579㏊ 면적을 목표로 나무 심기에 나섰다. 사업비는 총 289억 원이다. 숲 조성 규모는 2018년 547.3㏊, 2019년 575.9㏊, 2020년 798.7㏊, 지난해 756㏊ 등이다. 사업 4년간 총 2677.9㏊에 나무를 심어 목표를 조기 달성했다. 밀원숲에는 아까시나무·백합나무·헛개나무 등 20여종 611만4000 그루가 식재됐다.

이 가운데 보령시 성주면 개화리 일대 도유림 50ha에는 아까시나무를 집중적으로 심었다. 도는 올해 560㏊에 129만9000그루를 더 심을 계획이다. 도는 2단계 5개년(2023∼2027년) 계획도 수립해 추진할 예정이다.

충남도는 “밀원숲에 심은 나무는 묘목”이라며 “이들 나무가 자라서 꽃이 피고 꿀벌이 모여들려면 시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도 관계자는 “전국적으로 꿀벌의 폐사나 실정 피해가 심하다”며 “밀원숲 조성으로 꿀벌이 돌아와 꿀을 만들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도는 도유림 내 밀원수 시범단지에서 채밀(꿀 뜨기)장을 운영하고, 조림지 채밀 편의시설도 지원할 방침이다. 또 6차 산업화 방안 등도 추진한다. 6차산업은 1차 산업인 농업을 2차 가공산업과 3차 서비스업과 융합해 농촌에 새로운 가치와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이다.

충남도의 밀원숲 사업 등에 관심이 쏠리는 것은 최근 전국적으로 꿀벌 폐사나 실종 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나서다. 경남도에 따르면 지난 1월 말부터 2월 초까지 약 2주간 18개 시·군 양봉 농가로부터 피해 신고를 받은 결과 321개 농가 벌통 3만8433개에서 피해가 발생했다. 충남양봉협회가 지난달 21∼23일 6개 시·군 36개 양봉 농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꿀벌 집단 폐사·실종 피해가 평균 59%(최소 31%·최대 96%)에 달했다. 전남에서도 826농가, 7만1655개의 벌통에서 피해가 발생했다.

벌통 기준으로 따지면 경북 전체 58만 군의 12.9%인 7만4582군에서 꿀벌 50% 이상이 사라졌다. 피해 농가가 많은 지역은 성주(100호)·영천(95호)·의성(82호)·포항(81호) 등이며, 대부분의 시·군에서 신고가 접수됐다. 벌통 기준으로는 성주(1만613군), 영천(8021군), 의성(6342군), 영덕(6219군)에서 피해가 컸다. 평균적으로 벌통 1개에는 약 2만 마리의 꿀벌이 산다. 국내 양봉 농가는 2020년 12월 현재 2만7000여 곳에 달한다.

현재까지 꿀벌이 사라진 원인은 뚜렷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이상기후나 병해충 또는 바이러스 피해, 봉군(蜂群·벌 무리) 관리 기술 부족, 밀원수 감소, 약제과다 사용 등 다양한 원인을 놓고 분석이 이뤄지고 있다.

꿀벌 개체 수 감소는 직접 벌꿀 채취량 감소로 이어져 벌꿀 유통업계에 타격을 준다. 더 큰 문제는 꿀벌이 줄어들면 주변 농작물과 식물 생장에 큰 악영향을 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