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두산그룹, 23개월만에 채권단 관리 ‘조기 졸업’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3면

박정원 회장

박정원 회장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코로나19) 사태 직후 유동성 위기에 빠졌던 두산그룹이 23개월 만에 채권단 관리체제에서 벗어났다.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은 “28일부로 채권단과 두산그룹 간 체결한 재무구조개선 약정(MOU)에 의한 채권단 관리체제를 종결한다”고 27일 밝혔다.

그룹 주력인 두산중공업이 2020년 3월 산은에 긴급 자금지원 요청을 한 지 23개월 만이다. 산은과 수출입은행은 코로나19 위기 직후인 2020년 6월 두산과 재무구조개선 약정을 체결했다.

산은 측은 이날 “재무구조개선과 앞으로의 사업전망에 대한 외부전문기관의 재무진단 결과, 두산중공업의 재무구조가 다시 독립경영이 가능한 수준까지 회복된 것으로 확인했다”고 밝혔다. 산은은 이어 “성공적인 재무구조 약정 종결을 통해 에너지 분야의 대표기업인 두산중공업은 유동성 위기 극복뿐 아니라 ‘미래형 사업구조로 새 출발’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았다”고 덧붙였다.

두산그룹 구조조정은 2020년 초 두산중공업의 자금난으로 본격화했다. 당시 두산중공업은 석탄화력 등 전통 발전 분야의 실적 둔화와 자회사인 두산건설에 대한 자금지원 부담으로 재무구조가 악화됐었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금융시장 경색 등이 겹치면서 유동성 위기를 겪었다. 여기에 원자력 등 발전분야에 주력해온 두산중공업이 문재인 정부의 탈원전 정책 여파로 어려움에 빠졌었다. 두산중공업의 실적 악화는 바로 그룹의 위기로 이어졌다. 당시 산은과 수은은 총 3조원의 긴급 자금을 지원했다. 두산중공업 사태가 악화할 경우 경제에 미치는 충격을 고려했다. 대신 대주주와 경영진의 책임 있는 역할과 직원의 고통분담, 지속가능한 정상화 방안 수립 등 구조조정 3대 원칙을 조건으로 내걸었다.

두산그룹 측도 꾸준히 재무구조 개선 노력을 기울였다. 약정 기간 중 두산그룹이 매각한 계열사의 자산은 총 3조1000억원에 이른다. 여기에는 그룹 본사인 두산타워(8000억원)와 계열사인 두산솔루스(6986억원), 두산인프라코어(8500억원) 등도 포함됐다. 두산그룹은 이어 지난 18일 마무리한 1조15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포함, 두산중공업에 총 3조4000억원의 자본을 확충하는 등 노력을 기울였다. 금융권에선 두산그룹이 23개월 만에 채권단 관리체제에서 완전히 벗어난 것을 두고, ‘높게 평가받을 만하다’는 평이 나온다.

하지만, 두산그룹이 본격적으로 재기하기 위해선 가스터빈과 수소 같은 신사업 분야를 성공시켜야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