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소방관들, 전기톱으로 철근 썰어가며 수색작업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2면

지난 14일 오전 7시. 외벽이 무너져 내린 건물 뒤쪽으로 동이 트기 시작했다. 출입통제선 주변으로 안전모를 쓴 소방관들의 움직임이 빨라졌다. 그렇게 시작된 구조 활동은 오후 8~10시쯤 끝났다.

도심 한가운데서 6명이 어이없이 사라진 광주광역시 아이파크 외벽 붕괴사고 현장에서 그날 오후 6시49분쯤 실종자 한 명이 지하 1층에서 발견됐다. 중앙119구조본부와 광주 특수구조단 인력 200여 명이 떨어진 콘크리트 잔해물과 늘어진 철근 사이를 쉴 새 없이 오가며 가까스로 거둔 ‘안타까운 성과’였다.

구조 상황은 예상보다 열악했다. 현대산업개발이 크레인 등 장비와 지반 보강 등의 기술적 지원을 하지만 구조와 수색의 많은 부분은 소방관의 수작업으로 이뤄졌다. 추가 붕괴 가능성 때문이었다. 콘크리트 더미 앞에 삽이나 전기톱, 펜치처럼 생긴 절단기를 든 소방관들이 철근을 하나씩 썰고 끊어가며 잔해를 제거했다.

관련기사

15일과 16일에는 구조작업 중 고층부에서 낙하물이 떨어졌다. 16일에는 종일 나무가 흔들릴 정도의 강풍이 불어 7회의 낙하물이 발생했다. 그때마다 대피를 알리는 사이렌이 울렸다. 대원들은 철수와 수색을 반복했다.

구조 현장과 그 주변에서는 한숨이 이어졌다. 처음으로 발견된 실종자에게 다가가기 위해 소방관들은 전기톱으로 철근을 잘라야 했다. 실종자의 사망 소식이 발견 시점보다 한참 늦게 전해진 이유다. 문희준 긴급구조통제단장은 “매몰자가 있는 지점은 콘크리트, 철근, 구조물들이 뒤섞여 있는데 구조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해야 한다”고 말했다.

수색이 장기화하자 17일 피해자 가족 협의회는 “무리한 구조작전으로 인한 또 다른 희생을 원치 않는다. 소방대원과 근로자들의 안전과 충분한 휴식, 안전대책을 보장하라”는 입장을 내기도 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