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13년 만에 최대폭, 생산자물가 8.9% 상승…소비자물가 어쩌나

중앙일보

입력

생산자물가지수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13년 만에 전년동월대비 기준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국제유가 상승세에 더해 글로벌 공급망 병목현상 등의 영향으로 물가상승 압력이 커진 영향이다. 뉴스1

생산자물가지수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13년 만에 전년동월대비 기준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국제유가 상승세에 더해 글로벌 공급망 병목현상 등의 영향으로 물가상승 압력이 커진 영향이다. 뉴스1

생산자물가지수가 2008년 세계금융위기 이후 13년 만에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국제유가 상승세에 더해 글로벌 공급망 병목현상 등의 영향으로 물가 상승 압력이 커진 영향이다. 선행지표인 생산자물가가 큰 폭으로 오르며 소비자물가가 들썩일 가능성도 더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이 19일 발표한 ‘2021년 10월 생산자물가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2015=100)는 112.21이다. 지난해 10월(103.01)보다 8.9%가 오르며 세계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10월(10.8%) 이후 13년 만에 가장 높은 상승 폭을 기록했다. 지난 4월 이후 역대 최대치를 7개월 연속 갈아치웠다.

지난달 생산자물가 지수를 끌어올린 것은 공산품 가격이다. 국제유가와 원자재 가격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면서 석탄·석유제품(12.6%)과 제1차 금속제품(2.5%) 가격이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공산품의 생산자물가지수(114.75)도 한 달 만에 1.8% 상승했다. 전력·가스·수도·폐기물 생산자 지수도 한 달 전보다 2.3%가 올랐다.

한은 관계자는 “최근 국제유가와 원자재가격의 오름세가 지속하고, 코로나19 충격에서 회복하며 연초부터 수요가 살아난 영향도 있다”며 “국제 공급망 병목현상으로 제품 생산이 지연되는 등 복합적인 요인이 작용하면서 생산자 물가가 크게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농림수산품의 생산자물가(129.51)는 한 달 전보다 4.7% 하락했다. 배추(-47.9%), 감(-38.9%) 등의 농산물(-4.3%) 가격이 큰 폭으로 내렸고, 축산물(-5.5%)과 수산물(-1.4%) 가격도 모두 내려갔기 때문이다.

지난달 서비스 생산자물가지수(109.61)는 한 달 전(109.62)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음식점·숙박서비스(0.3%)의 가격이 올랐지만, 금융·보험서비스(-1.2%)의 가격이 하락하며 제자리걸음을 했다. 다만 지난달부터 정부가 부동산중개 수수료를 인하하며 부동산중개(-4.0%) 가격은 크게 떨어졌다.

생산자물가지수의 오름폭은 이번 달부터 완만해질 것이라는 게 한은의 전망이다. 국제유가와 원자재가격의 오름세가 둔화하고 있어서다. 한은 관계자는 “지난달 생산자물가지수의 상승세는 국제유가가 가파르게 올랐기 때문”이라며 “이번 달 국제유가와 원자재가격 상승세가 둔화하거나 하락하는 경향을 보이면서 상승 폭이 축소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지난달 국내공급물가지수(2015=100)는 전달보다 1.4% 상승한 115.46이다. 공급자물가지수는 국내에 출하되거나 수입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변동을 측정한 지표다. 국내 출하되거나 수출되는 상품과 서비스 물가를 측정한 총산출물가지수(2015=100)는 전월보다 1.0% 오른 113.25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