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비즈 칼럼] 대학교육이 변해야 나라가 산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장지상 경북대 명예교수

장지상 경북대 명예교수

지난 30년간 우리 경제의 장기성장률이 5년마다 1%씩 감소했다고 한다. 인구 고령화 속도는 가팔라지고, 성장을 주도한 제조업도 4차 산업혁명과 탈(脫)탄소라는 전환기를 맞이하고 있다. 이대로라면 곧 0%대 혹은 마이너스 성장으로 갈 수도 있다.

해법은 위기를 기회로 바꾸려는 노력이다. 4차 산업혁명의 요체는 ‘지능화’다. 지능화된 제조업에서는 두세 사람이 하던 일을 한 사람이 할 수 있다. 인구와 관계없이 생산성을 유지하거나 높일 수 있다. 고령화와 성장 정체라는 당면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열쇠인 것이다.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도 마찬가지다. 전통 제조업의 비중이 높은 우리 경제는 온실가스 배출량도 많다. 2050년 탄소중립에는 큰 비용이 소요된다. 경쟁력을 잃을 수 있는 위기다. 그러나 수소산업 등 새로운 산업을 일으키거나, 새로운 사업 기회를 발굴해 성장의 동력으로 삼을 수도 있다.

지난해 정부가 ‘디지털뉴딜’과 ‘그린뉴딜’을 내세운 것도 이러한 취지에서다. 한국판 뉴딜은 코로나19로 침체된 경기 회복과 구조적 대전환에 대응하기 위해 2025년까지 총 160조원을 투자하는 계획이다. 최근 경제 상황으로 보아 시의적절할 뿐만 아니라 방향도 제대로 잡은 것으로 평가된다. 문제는 실행이다.

뉴딜 정책은 궁극적으로 민간부문에서 실행돼야 하고 결국 사람이 한다. 인재가 없으면 성공할 수 없다. 산업의 디지털화와 그린화는 인류가 처음 해보는 일이다. 모방이 불가능하고 창조해야 하는 일이다. 창의적인 사고와 전문지식 그리고 도전정신을 갖춘 인재가 필요하다.

인재는 대학에서 양성돼야 한다. 다만, 현재의 대학교육으로는 불가능하다. 주입식 강의와 정답을 찾는 훈련에 치중하는 교육, 산업현장을 외면한 채 결과가 확실한 논문 생산연구로는 인재가 양성될 수 없다.

대학교육이 바뀌어야 한다. 소규모 토론식 강의로 스스로 문제를 설정하고 협업을 통해 해답을 찾아 나가는 창의적 교육이 이루어지고, 산학협력으로 현장에서 필요한 기술을 연구해야 한다. 문제는 돈이다. 10년간의 등록금 동결과 학령인구의 감소로 더 이상의 투자 여력이 없다.

재정을 투입해야 한다. 우리나라 고등교육 투자는 OECD 평균보다 열악하다. 2017년 우리나라의 1인당 고등교육비는 OECD 평균의 65%에 불과하고, GDP 대비 정부의 고등교육 지원도 0.6%로 OECD 평균 1.0%에 비해 낮다. 대학교육 변화를 전제로 재정지원을 높여 새로운 시대에 맞는 고급 인재를 양성해야 추격형에서 선도형 경제로 나아갈 수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