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들 물건 살 때 안정성에 소홀|서울대 최병선 교수 서울시민 386명 대상 조사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우리나라 소비자들은 상품의 안전성에 비교적 둔감하며 상품피해 경험이 상당히 있음에도 피해구제 절차상 번거로움을 이유로 정부나 민간소비자단체를 거의 찾지 않는 것으로 샘플조사결과 밝혀졌다.
또 정부는 불량업자와 허위·과장광고에 대한 단속과 규제를 소홀히 해 소비자들의 불만을 사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서울대 최병선 교수(행정대학원)가 최근 서울시민 3백86명을 상대로 조사한 「소비자 정보이용실태 설문 조사결과」에 따르면 소비자들은 안전성에 특별히 주의를 기울이는 상품으로 ▲의약품(46%) ▲전기용품(30%) ▲가공식품(7%) ▲완구류(5%) ▲농수산식품(4%) ▲화장품(2%)등을 꼽았다.
그러나 농수산식품의 경우 응답자의 82%가 「신선도」를 가장 중요시하고 단지 11%만이 「농약 사용 및 오염여부」를 중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전제품의 경우에도 애프터서비스·품질보증(26%) 「모델과 디자인」(23%)등이 안전성(15%)보다 중요시됐다.
의약품·화장품 등에 대해서는 효과를 가장 중시했으며(45%), 완구류를 고를 때는 어린이의 지능·정서개발에 도움을 주는지의 여부를 중시했다(54%).
또 위해도가 높은 상품과 관련, 「대기업 또는 유명회사제품이 비교적 안전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응답한 사람이 85%에 달해 소비자들의 안전성 판단기준이 상당히 막연함을 드러냈다.
소비자들은 대기업·유명회사 제품을 선호하는 이유로 67%가 철저한 품질관리 때문이라고 밝혔으나 품질관리의 우수성에 대해 단지 10%만이 과거의 경험을 통해 그렇게 알고 있다고 답했을 뿐 나머지 대부분이 회사 공신력 상 당연히 그러리라고 추측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위해도가 높은 상품을 구입할 때 재래시장보다 백화점 등 현대화된 판매처를 선호한다는 사람이 5명중 4명 꼴로 무척 높았는데 ▲제품선택의 폭이 넓기 때문(60%) ▲교환·환불의 용이성(23%) ▲좋은 제품만 취급하기 때문(15%)등을 이유로 꼽았다.
응답자 가운데 14%를 제외하고 나머지 모두가 「소비자 피해」경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져 소비자 피해가 우리 사회에 만연하고 있음이 입증됐다. 이들은 한두 차례(45%)에서 다섯 차례 이상(15%)의 피해를 경험했다.
피해소비자들은 대체로 직접 해결하려는 경향을 나타내 판매자(51%)나 제조업체(13%)를 찾아 교환·환불 등을 요구하고 있었으나, 귀찮아서(27%), 처리방법을 몰라(13%) 내버려 둔 이들도 많았다.
소비자보호기관이나 단체의 이용은 극히 낮았다. 응답자의 절반 이상이 처리절차가 번잡해 중도에서 문제해결을 포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은 정부의 소비자보호시책 상 가장 큰 문제로 ▲불량·악덕제조업체에 대한 단속이 철저하지 않다는 점을 지적했고(56%) 이밖에 ▲허위·과장광고 규제허술 ▲정확한 품질 표시 규제 미흡 ▲피해구제 절차 번잡 등도 문제로 지적했다. <이상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