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그곳에선] 여의도… 재건축 제동 걸려 매매도 일단 정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12면

올 상반기 내내 여의도 아파트시장을 뜨겁게 달궜던 재건축 기대감이 갑자기 수그러졌기 때문이다. 여의도 상업지역 내에 있는 서울아파트(50, 69평형 192가구)와 인근 수정아파트(329가구).공작아파트(373가구) 등은 '멸실 후 신축'이란 새로운 방식으로 재건축을 추진해왔고, 이 방식은 안전진단, 소형 평형 의무비율, 개발이익환수제 등의 까다로운 재건축 규제를 모두 피해갈 수 있기 때문에 관심을 끌었었다.

그러나 8월 정부가 법을 바꿔 이 같은 방식의 재건축에 제동을 걸면서 이들 아파트의 사업 추진이 '일단 정지'됐다.

서울아파트 신축사업단 홍성야 의장은 "법 개정으로 신축 방식의 사업 추진이 어려워졌기 때문에 재건축을 하려면 기존 재건축 방식을 따라야 하는데 주민들이 이를 원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서울아파트 신축사업에 관여했던 현대산업개발 관계자는 "주민들의 생각이 어떻게 통일되는지 기다리고 있지만 현 상태로는 뾰족한 대안이 없다"고 전했다. 한 주민은 "재건축을 둘러싸고 재건축협의회.신축사업단.서울아파트를 사랑하는 모임 등 3개 단체가 의견다툼을 벌이며 시간을 끌어 재건축이 물 건너갔다"고 말했다.

수정아파트도 조용하다. 이 아파트 관리사무소 관계자는 "지금 아파트를 새로 도색하는 작업을 하고 있는 중"이라며 "규제를 받아가면서 급하게 재건축할 필요는 없다는 게 주민 대다수의 생각"이라고 말했다. 재건축 추진위조차 구성되지 않은 공작아파트 역시 상황은 마찬가지다. 관리사무소 관계자는 "재건축 얘기가 쑥 들어간 지 벌써 오래됐다"고 전했다.

아파트 매매시장도 잠잠하다. 연초 23억원이던 서울아파트 69평형의 호가가 상반기 중에 30억원으로 뛰었지만 이후에는 변동이 없다. 여의도 딸기부동산 관계자는 "법이 바뀐 직후 시세보다 5000만~6000만원가량 가격을 낮춘 실망매물이 몇 건 거래됐지만 지금은 매도 호가와 매수 희망가의 차이만 벌어져 있을 뿐"이라고 말했다. 여의도 수정부동산 관계자는 "법이 바뀐 뒤 재건축은 힘들다고 생각하는 분위기"라며 "찾는 사람도 드물지만 그렇다고 호가를 내려 팔겠다는 집주인도 없다"고 전했다.

함종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