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소불위의 별동대 '사직동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군사독재와 권위주의의 잔재로 말도 많고 탈도 많던 청와대 사직동팀이 해체된 것이 옷로비사건과 신보 대출 압력 사건등이 불거진 2000년 오늘(10월28일)입니다.

'사직동팀' (경찰청 조사과)의 뿌리는 28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박정희 대통령의 유신개헌을 3개월 남짓 앞둔 1972년 6월 29일 당시 김현옥 내무장관의 지시로 치안본부에 특수수사대가 설치됐습니다. 유신 개헌 직전 반체제운동이 활발한 상황에서 설치된 이 기관은 82년 12월 현재의 서울 사직동 소재3층 건물로 이사하며 '사직동팀'이라는 별칭을 얻게 됩니다.

28년의 역사동안 '사직동팀'은 늘 비판과 의혹의 대상이 되어버렸습니다. 대통령 친인척 행적과 고위 공직자의 비리를 추적하는 '암행어사'의 역할을 담당해야 할 본연의 업무 보다는 정권의 비밀경찰로서 무소불위의 횡포와 불법 감금, 인권 유린등 불법 수사를 일삼았기 때문이죠.

결국 대형 사건들의 축소 은폐·청부 수사 등 비리가 드러나면서 사회적 비난을 받게 되자 2000년 10월 당시 김대중 대통령의 명령에 의해 해체됐습니다.

하지만 지금도 굵직굵직한 정치권 비리사건이 터질때마다 사직동팀의 이름이 오르내리곤 합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