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준, 또 회전문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김병준(사진) 전 교육부총리가 청와대로 돌아온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17일 송하중 전 위원장이 사퇴해 공석 중인 대통령 자문 정책기획위원장에 김 전 부총리가 기용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김 전 부총리가 유력한 정책기획위원장 후보로 검토되고 있다"며 "이르면 내일(18일) 인사추천회의를 거쳐 최종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전 부총리는 5월 말 청와대 정책실장에서 물러난 후 7월 21일 교육부총리에 임명됐으나 대학교수 재직 시절의 논문 등과 관련한 의혹에 휘말려 18일 만에 자진 사퇴했다. 이번에 정책기획위원장으로 임명될 경우 만 5개월 만에 청와대 직제 안으로 돌아오는 셈이다.

정책기획위원회는 정부의 국정 과제를 총괄하는 대통령 자문기구로 이종오.이정우.송하중 위원장 등 교수 출신들이 위원장 직을 맡아왔다. 이정우 위원장이 지난해 7월 그만둔 이래 상당 기능이 청와대 정책실로 이관되는 등 정부 출범 초보다는 다소 역할이 축소됐다. 하지만 노 대통령의 신임이 두터운 김 전 부총리가 기용되면 위원회의 위상이 달라질 전망이다.

김 전 실장은 부동산 정책과 지방분권화 등 현 정부의 각종 개혁 정책을 주도한 노 대통령의 핵심 정책 참모로 대통령직 인수위 정무분과 간사, 정부혁신 지방분권위원장, 청와대 정책실장 등을 두루 거치며 대통령 곁을 지켜왔다. 한명숙 총리 임명 당시 유력한 총리 후보로까지 거론될 정도였다.

청와대 관계자는 "임기 후반기를 맞아 새로운 일을 만들기보다 노 대통령이 추진해온 각종 정책 과제를 잘 마무리하는 일이 중요해졌다"며 "그런 점에서 대통령의 정책 철학을 가장 잘 아는 김 전 부총리가 정책기획위원장 적임자로 검토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임기 말까지 개혁정책을 일관되게 추진하겠다는 노 대통령의 의지가 담긴 인사라는 관측도 무성하다.

대통령 자문 정책기획위원장은 장관급이긴 하나 국회의 청문 절차 등이 필요없다. 하지만 논문 등과 관련한 구설로 중도 하차한 김 전 부총리를 청와대 고위직에 재기용하는 것인 만큼 야당 등에 의해 코드인사 논란이 재연될 가능성이 크다.

박승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