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 대통령 기자회견 "한국 역할 축소되는 쪽으로 상황 급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9일 오후 5시30분 한.일 정상회담을 마친 노무현 대통령은 기자회견을 했다. 당초 이 회견은 정상회담 결과 언론 브리핑으로 예정됐으나 북한의 핵실험으로 '한.일 정상회담과 북한 핵실험에 대한 기자회견'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다음은 노 대통령의 모두발언과 일문일답 요지.

<모두발언>

◆ 북한 핵실험 관련=북핵 문제에 관한 돌발 사태가 발생했다. 과연 핵실험인지와, 핵실험이 성공했는지에 대한 과학적 검증은 지금도 계속되고 있다. 이번 실험은 한반도와 동북아 안정을 위협하는 중대 사태로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국민들과 국제 사회의 기대를 저 버렸다. 정부는 여야 지도자들과 사회 지도층의 의견을 적극 수렴하고 국제 사회와 긴밀히 협조해 단호하고도 냉정하게 대처할 것이다.

◆ 한.일 정상회담 관련=과거사가 합리적으로 정리되지 않으면 동북아에 끊임없는 불신과 불안을 가져올 수 있다. (아베 신조 일본 총리에게) 야스쿠니 신사 참배 얘기를 했고, 역사교과서 왜곡에 관한 문제와 종군위안부 문제를 얘기했다. 아베 총리는 과거 역사에 대한 한국 국민의 관심을 무겁게 받아들인다고 했다.

<문답>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했다. 현실적으로 정부와 주변국이 북한에 할 수 있는 조치는 뭔가.

"핵실험을 방지하기 위해 경보 조치로 말할 때와 핵실험이 성공했다는 공식발표가 나온 시점의 대응은 다를 수밖에 없다. 좀 더 신중하게 대응할 수밖에 없다. 대응 조치에 대해 내일(10일) 아침 여야 지도부를 초청해 대화를 하겠다. 점심에는 전직 대통령들을 모셔서 의견을 듣겠다. 지금 6자회담 관계 당사국과 긴밀하게 정보를 교환하고 의견을 나누고 있다. 6자회담 과정에서 중국과 한국이 대화를 강조했다면 일본과 미국은 제재와 압력을 강조한 게 사실이다. 인식 차가 있었다. 이제 한국이 제재와 압력이라는 국제 사회의 강경 주장에 대해 대화만 계속 하자고 강조할 수 있는 입지가 없어졌다. 핵실험 대응 기조에서 일본 총리와 이견이 없었다."

-북한이 지하 핵실험을 강행해 대북 포용정책을 전면 재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 많은데.

"상황은 한국의 역할이 축소되는 쪽으로 급격히 변하고 있다. 이건 객관적 상황이다. 포용정책이 북핵 문제 해결에 유효하지 않았다는 평가가 거세게 제기될 가능성이 있다. 대화에 의한 해결을 포기하지 않을 것이지만 지난날처럼 북한이 뭘 하든 간에 모든 걸 인내하고 양보하고 수용하는 식으로는 해나갈 수 없는 것 아닌가. (북한 핵실험은)국제평화 질서에 대한 중대한 도전이자 다른 국가들의 핵무장을 자극할 수 있는 위험한 불장난이다."

박승희.신은진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