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북한 수해 복구 지원 남북회담 추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5면

정부가 북한의 수해 복구 지원을 위해 남북회담을 추진키로 했다. 정부 당국자는 16일 "800여 명의 사망.실종자가 나온 것으로 알려진 북한의 수해 복구를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선 당국 간 협의가 필요하다는 게 정부의 판단"이라며 "남북회담은 통일부 등 정부 관계자와 대한적십자사가 참여하는 긴급 구호회담 형태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곧 적십자 채널을 통해 북한에 전화통지문을 보내 회담 개최를 제안할 예정이다.

남북 당국 간 대화는 7월 13일 부산 장관급회담 결렬 이후 한 달 넘게 중단됐으며, 정부는 이번 회담을 당국 관계 회복의 단초로 삼는다는 복안이다. 통일부는 이미 한적과의 협의를 통해 북한에 지원할 쌀을 적어도 10만t으로 한다는 데 의견 접근을 봤으며 필요하면 추가 지원 등 물량을 늘릴 수 있다는 입장이다. 인도적 차원에서 무상 지원할 쌀은 모두 국산 비축미로, 수송비를 포함해 2400억원이 소요된다.

정부는 또 불도저와 굴삭기.덤프트럭 등 복구에 필요한 장비는 북한 측의 요구 사항을 감안해 지원 수량을 정하기로 했으며 임대가 아닌 무상 지원키로 했다. 복구에 필요한 철강재와 시멘트도 보낸다. 의약품과 쌀을 제외한 식량(라면.밀가루 등)은 민간단체의 모금 등으로 충당하기로 했다.

정부는 그러나 비료의 경우 긴급구호와는 거리가 있다는 판단에 따라 지원을 계속 유보키로 했다. 정부 당국자는 "이번 지원 결정은 지난달 북한의 미사일 발사로 인한 쌀.비료 지원 유보 조치와는 별개로 인도적 차원에서 이뤄지는 긴급구호"라고 설명했다.

2004년 4월 북한 용천역 폭발사고(사망 150여 명) 때는 정부와 민간단체가 쌀 5000t을 포함해 모두 700억원 규모의 물품과 복구장비를 지원했다. 북한은 1984년 남한 수해 때 쌀 5만 섬(7300t)과 시멘트 10만t, 옷감 등을 보내왔다.

이영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