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中, WHO보고서에 '우한연구소' 빼라고 압박" 조사단 폭로

중앙일보

입력

올해 초 중국에서 WHO의 기원조사를 이끌었던 피터 벤 엠바렉 박사. AP=연합뉴스

올해 초 중국에서 WHO의 기원조사를 이끌었던 피터 벤 엠바렉 박사. AP=연합뉴스

세계보건기구(WHO) 조사단 일원이 올해 초 중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기원조사 당시, 중국 측의 반대로 '우한연구소'가 보고서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폭로했다.

13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WHO 조사단을 이끌었던 피터 벤 엠바렉 박사가 전날 덴마크 공영방송 TV2에서 방영된 다큐멘터리 '바이러스 미스터리'에서 WHO 공동보고서 작성의 배경을 밝혔다. 그러면서 우한연구소 유출에 대한 가능성도 언급했다.

WHO는 지난 3월 중국에서 4주간의 조사를 마친 뒤 "코로나19가 중국 실험실에서 유출됐을 가능성은 극히 낮다"고 공동보고서를 통해 발표한 바 있다.

하지만 이날 방송에서 엠바렉 박사는 "처음에 중국 측은 보고서에 실험실과 관련된 그 어떤 내용도 들어가길 원치 않았다"며 "그러나 우리는 그 내용이 바이러스 기원과 관련된 문제의 일부였기에 보고서에 포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48시간에 걸친 논의 끝에 중국 연구팀은 해당 내용을 언급하는 것으로 한발 물러섰지만, 대신 그 가설과 관련해 추가 연구를 진행하지 않도록 권고하는 것을 조건으로 내걸었다"고 덧붙였다.

중국 우한(武漢)의 우한바이러스연구소. EPA=연합뉴스

중국 우한(武漢)의 우한바이러스연구소. EPA=연합뉴스

지난 2월 WHO 조사단이 코로나19 기원조사를 위해 중국에 입국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지난 2월 WHO 조사단이 코로나19 기원조사를 위해 중국에 입국하고 있다. 로이터=연합뉴스

엠바렉 박사는 이전에 WHO가 일축했던 우한연구소 유출 가능성을 언급한 뒤 "박쥐와 상호작용하는 실험실 직원이 최초 감염자일 가능성이 크다"며 "현장에서 샘플을 채취하다가 우연히 감염된 직원이 우한에 바이러스를 들여왔다는 가설은 가능성 있는 시나리오"라고 말했다.

이어 "이는 바이러스가 실험실에서 유출됐다는 것과 박쥐로부터 감염됐다는 두 가지 가설을 모두 충족한다"며 "중국 연구자들과 대화하던 중 실험실이 2019년 12월에 이전됐다는 점을 알게 됐는데, 흥미롭게도 이 시기에 코로나19가 시작됐다"고 했다.

그는 "WHO의 보고서에 '가능성이 극히 낮다'는 결론은 '가능성이 없다'는 의미가 아니다"라며 "우한 질병통제예방센터에서 운영하는 실험실과 관련해 더 많은 정보를 찾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