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휴전 서둘러야" 부시, 유엔결의안 촉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4면

조지 W 부시 미국 대통령은 7일 레바논 위기를 종식하기 위해 유엔 안보리가 휴전 결의안을 가능한 한 빨리 채택해야 할 것이라고 7일 밝혔다. 부시 대통령은 이날 텍사스주 크로퍼드 목장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미국은 이스라엘과 레바논 무장단체 헤즈볼라 간의 조속한 휴전을 위해 국제사회와 협력해 나갈 것"이라며 결의안 채택을 촉구했다. 이날 회견에는 콘돌리자 라이스 국무장관이 배석했다.

부시 대통령은 그러나 "레바논 무장단체인 헤즈볼라가 이번 위기를 불렀다"고 비난하고 "시리아와 이란이 민주주의의 발전을 중단시키기 위해 헤즈볼라의 도발을 부추겼다"고 지적했다.

미국과 프랑스는 지난 주말 레바논 사태 해결을 위한 결의안 초안에 합의했다. 프랑스가 제안한 결의안 초안은 ▶헤즈볼라의 즉각적인 군사적 적대행위 중지 ▶이스라엘과 레바논의 영구적 휴전 및 장기적인 사태 해결 동의가 골자다. 또 이스라엘과 레바논은 기존의 국경.영토를 상호 존중해야 하며, '쉬바 팜 지역'같은 국경 근처의 분쟁지대에서 충돌을 피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미국은 지난달 12일 이스라엘의 레바논 공격이 시작된 뒤 지금까지 거의 손을 놓고 있었다. 이는 사실상 이스라엘 편을 들어왔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미국 내에서조차 부시 대통령의 '무대책'을 비난하는 목소리가 높아졌다. 지미 카터 전 대통령은 5일 "지금까지 이스라엘이 만든 최악의 동맹은 부시 행정부"라고 맹공했다. 그는 "부시 대통령은 이스라엘과 헤즈볼라가 서로 공격을 계속하도록 고무시켜 왔다"며 "미국은 즉각적인 휴전을 위해 노력해야 하며, 국제사회는 장기적 해결에 집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지난주 열흘간 휴가를 떠난 부시 대통령으로서도 여론의 압력을 무시하기는 어려웠던 것으로 보인다.

결국 프랑스가 제안한 휴전 방안을 받아들여 유엔의 이름 아래 휴전이라는 봉합책을 들고 나온 것으로 분석된다.

그러나 레바논은 즉각 미국-프랑스 공동 결의안에 반대하며 일부 문구가 수정되기를 요구하고 있다. 레바논의 유엔 특사 누하드 마무드는 "불행히도 이 결의안엔 레바논 영토 내 이스라엘군 철수와 같은 중요한 요구가 없다"며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레바논 정부는 타렉 미트리 외무장관 대행을 유엔에 보내 수정안을 제시할 방침이다.

그러나 유엔 안보리 상임이사국인 러시아와 중국은 "이스라엘과 레바논은 미국과 프랑스의 공동 결의안을 받아들여야 평화가 정착될 것"이라며 프랑스 중재안을 지지하고 있다.

워싱턴=강찬호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