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靑투머치토커 이철희·박수현, 그들이 사고쳐도 욕 못한 이유 [뉴스원샷]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뉴스 ONESHOT’ 외 더 많은 상품도 함께 구독해보세요.

도 함께 구독하시겠어요?

서승욱 정치팀장의 픽: 사과 안하는 대통령

청와대의 TMT(Too Much Talker·말이 많은 사람) 둘을 두고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방송 출연이 잦은 이철희 정무수석과 박수현 국민소통수석 이야기다.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왼쪽)과 박수현 국민소통수석. [연합뉴스]

이철희 청와대 정무수석(왼쪽)과 박수현 국민소통수석. [연합뉴스]

"박 수석은 6월 한달 간 방송에 10번 출연했고, 이 수석은 6번이나 언론 인터뷰를 했다. 그냥 틀면 나오는 수준”(뉴스1), "1964년 동갑내기인 두 청와대 참모가 5월31일부터 7월14일까지 45일간 출연한 방송 횟수가 총 20회(박수현 14회, 이철희 6회)에 달한다"(TV조선)는 보도가 이어졌다.

노출 빈도가 잦으면 '사고'는 피하기 어렵다. '박성민 청년 비서관' 발탁이 문제가 됐을 때 이를 비판하는 국회 보좌관들을 향해 이 수석이 "속으로 ‘(박 비서관과 마찬가지로 시험으로 안 뽑힌)니들은 뭐냐 도대체' 이런 생각을 했다"고 공격한 것이 문제가 됐다.

 야당 뿐만 아니라 여당의 보좌관들, 심지어 청와대의 전직 비서관까지 이 수석을 벌떼처럼 공격했다.

박 수석은 이 수석 보다 '방송 사고'가 더 잦은 편이다. 특히 청해부대 코로나 집단감염 사태와 관련해 지난 21일 "문재인 대통령도 정말 안타깝고 속이 탄다"라면서 했던 "누구도 생각하지 못했던 수송기 급파는 문 대통령 지시"란 말이 큰 파장을 낳았다. 야당에선 "화딱지 나는 문비어천가(문재인+용비어천가)"란 비판이 쏟아졌다.

"문 대통령과 국민의힘 이준석 대표의 영수회담이 임박했다”는 그의 말도 마찬가지다. 이 대표가 “한 달 전에 제안하고 연락이 없다가 라디오로 발표하면 당황스럽다. 다른 경로로 연락받은 건 없다"고 받아치면서 박 수석만 뻘쭘해졌다. 결국은 무산된 한·일 정상회담과 관련해 "정상회담의 성과가 있어야 한다"는 박 수석의 발언도 결과적으로 문 대통령의 발과 운신 폭을 묶는 족쇄가 됐다는 지적이 적지 않다.

하지만 성적표를 떠나 청와대 고위 참모들의 소통 노력 자체는 나무랄 일이 아니란 생각이다. 소통에 인색했던 전임자들 시절과 비교하면 특히 그렇다.
 이 수석의 전임자인 최재성 전 수석의 경우는 '좀 심하다' 싶을 정도로 소통에 소극적이었다. 라디오 프로그램엔 가끔 등장했지만, 청와대 출입기자들 사이에서도 "정무수석이 기자들 전화 조차 안 받는게 말이 되느냐"는 불만이 자주 터져나왔다.

사실 TMT 논란보다 더 본질적인 문제는 문 대통령 본인의 불통이다.

문 대통령은 군 최고통수권자임에도 청해부대 감염사태에 대해 자신의 목소리로 사과하지 않고, 군에 책임을 돌리는 듯한 발언을 했다. 이에 비난 여론이 들끓자 감염 사태가 처음 알려진지 8일만에 등 떠밀린 모양새로, 육성이 아닌 SNS 메시지로 짧게, 부대원과 부대원의 가족들에게 사과했다.

또 자신이 당선된 대통령 선거 당시의 댓글조작으로 '친노·친문 적자'라는 최측근의 유죄가 확정됐음에도 최소한의 유감 표명조차 아직 없다.

명색이 청와대 반부패비서관이 투기 의혹으로 잘려나가고, 인사 책임 문제가 불거져도 일체 반응이 없다. 역대 대통령 중 가장 기자회견에 인색한 건 이제 뉴스도 아니다. '내로남불'과 '유체이탈', 그리고 사건만 터지면 끝없는 침묵이 이어진다.

이런 대통령을 모시면서도 대국민 소통을 위해 동분서주하는 두 사람의 청와대 TMT에게 돌을 던지기 어려운 이유다. 보스를 무리하게 방어하려 들면 사고가 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여당에서도 이들 TMT에 대해 “청와대 비서들은 입이 없어야 한다”는 불만이 나온다는데, 이 역시 비겁한 일이다. 침묵하는 대통령, 또 걸핏하면 SNS나 언론 인터뷰에 등판하는 대통령 가족은 비판하지 못하고, TMT 두 사람에게만 돌을 던지는 건 문제가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