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매체 "문 대통령 도쿄올림픽 맞춰 日 방문 타진"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문재인 대통령이 다음달 23일 개막하는 도쿄올림픽에 맞춰 일본을 방문하고 한일 정상회담을 개최할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고 일본 민영방송네트워크 NNN이 9일 보도했다.[NNN 뉴스 화면 캡처]

문재인 대통령이 다음달 23일 개막하는 도쿄올림픽에 맞춰 일본을 방문하고 한일 정상회담을 개최할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고 일본 민영방송네트워크 NNN이 9일 보도했다.[NNN 뉴스 화면 캡처]

일본 매체가 문재인 대통령이 다음 달 23일 개막하는 도쿄 올림픽에 맞춰 일본 방문을 타진하고 있다고 9일 보도했다. 닛폰 TV 계열 민영방송뉴스네트워크 NNN은 한·일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한국 정부가, 문 대통령과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총리의 한·일 정상회담을 타진하고 있다”며 “정상회담 개최가 어려울 경우 김부겸 총리를 (일본에) 파견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북한의 불참이 사실상 확정되면서 문재인 정부가 도쿄 올림픽에 대해 갖는 관심도는 크게 떨어졌다. 당초 도쿄 올림픽을 ‘2018년 평창 어게인’으로 만들려는 구상 자체가 무산됐기 때문이다.

거기다 최근 들어 일본은 과거사 문제에 대한 진전 없이 한ㆍ일 정상회담에 응할 경우 국내적으로 한국에 대해 유화적 태도를 보이는 것처럼 비칠 것을 우려, 의도적 여론전을 펼치는 측면도 있다. 외교 소식통은 “일본 분위기를 보면 스가 총리가 문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다면 이는 마치 그 자체로 일본이 한국에 ‘선물’을 주는 것처럼, 베푸는 것처럼 포장하는 느낌이 있다. 그 속뜻은 결국 한국이 선물을 받고 싶으면 그에 상응하는 과거사 관련 제안을 들고 오라는 것으로, 국내정치용 메시지도 있는 셈”이라고 전했다.

하지만 최근 도쿄 올림픽 강행과 관련, 국제적으로 부정적 여론이 높아지면서 정상급 인사의 올림픽 개막식 참석이 절실한 건 일본 쪽이다. 정상급 인사가 다수 참석해야 흥행에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오히려 한국은 한ㆍ미 정상회담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한ㆍ미ㆍ일 안보 협력 복원 의지에 호응하겠다는 뜻을 충분히 밝힌 만큼 한ㆍ일 양자 정상회담에까지 굳이 목맬 필요는 없다는 분위기다.

다만 정부는 2018년 평창 겨울 올림픽 개막식 당시 아베 신조(安倍晋三) 당시 일본 총리가 직접 참석한 점 등까지 고려해 도쿄 올림픽 개막식에 참석할 인사의 적절한 급을 결정하겠다는 입장이다. 또 이번 주말 영국에서 열리는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한ㆍ미ㆍ일 간 협의가 긍정적으로 전개될 경우 한국 고위급 인사의 방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유지혜·정은혜 기자 wisepe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