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윤석열 바람’ 가로막은 ‘이준석 현상’? 尹지지율 정체, 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이준석 바람’의 여파가 ‘윤석열 바람’의 확산을 가로막고 있는 걸까.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최근 잠행을 끝내고 공개 활동의 빈도를 높이고 있지만 대선 후보로서의 지지율은 미미하게나마 오히려 하락했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이어지고 있다.

한국갤럽이 지난 1~3일 조사해 4일 공개한 ‘차기 정치 지도자 선호도’ 조사에서 이재명 경기지사는 24%, 윤석열 전 총장은 21%를 기록했다. 직전 조사인 지난달 7일 조사에 비해 두 사람 모두 각각 1%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국민의힘 대표를 노리고 있는 이준석(왼쪽) 전 최고위원과 국민의힘 입당을 저울질하고 있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 중앙포토

국민의힘 대표를 노리고 있는 이준석(왼쪽) 전 최고위원과 국민의힘 입당을 저울질하고 있는 윤석열 전 검찰총장. 중앙포토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달 31일부터 사흘간 조사해 지난 3일 발표한 ‘대선 후보 적합도’ 조사에선 이재명 지사와 윤 전 총장이 각각 28%, 20%를 얻었다. 지난주에 비해 각각 2%포인트 상승하고 2%포인트 하락해 두 사람의 격차는 오차범위(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밖으로 벌어졌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

두 조사가 진행되는 동안 윤 전 총장에 관한 뉴스는 집중적으로 쏟아졌다. 윤 전 총장이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을 강릉에서 만났다는 사실이 알려진 지난달 31일 이후 국민의힘 의원 연쇄 접촉, 유명 건축가인 유현준 홍익대 교수와의 만남이 이어졌다. ‘골목길 경제학자’로 불리는 모종린 연세대 국제대학원 교수와의 만남, 또 이 자리에 동석한 30대 장예찬 시사평론가가 윤 전 총장의 첫 공개 참모로 소개되며 화제를 낳았다.

윤석열(오른쪽) 전 검찰총장이 지난 1일 서울 연희동의 한 식당에서 모종린 연세대 국제대학원 교수와 이야기하고 있다. 유튜브 ‘장예찬TV’

윤석열(오른쪽) 전 검찰총장이 지난 1일 서울 연희동의 한 식당에서 모종린 연세대 국제대학원 교수와 이야기하고 있다. 유튜브 ‘장예찬TV’

다른 한 편으로는 검찰이 요양급여 부정수급 혐의로 기소한 윤 전 총장의 장모에게 징역 3년을 구형했다. 또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조국 전 법무부 장관 관련 대국민 사과를 하며 “조 전 장관에 대한 검찰 수사의 기준은 윤 전 총장의 가족 비리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돼야 한다”고 발언했다. 윤 전 총장 관련 이슈의 언론 노출이 급등한 시기였다.

그런데도 윤 전 총장 지지율은 왜 큰 변화가 없었던 것일까.

전문가들이 주로 꼽는 원인 중 하나는 이른바 ‘이준석 현상’이다. 6·11 국민의힘 전당대회 출마한 이준석 전 최고위원이 당초 예상을 깨고 유력한 대표 후보로 부상한 게 여론조사 수치상으로는 윤석열 전 총장에게 불리하게 작용했을 가능성이다.

김춘석 한국리서치 여론조사본부장은 “윤 전 총장의 지지율은 이전과 비교해서 큰 차이는 아니다. 크게 변동이 없는 수준”이라면서도 “국민의힘이 대표 경선 중이라 시선이 분산되는 효과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이상일 케이스탯컨설팅 소장은 “국민의힘 전당대회는 코 앞에 닥친 문제고 이준석 현상은 여론이 여론을 확인하면서 확산하는 모습”이라며 “일반 국민의 시야에서는 윤 전 총장의 행보보다 이준석 현상에 대한 관심이 높은 걸로 보인다”고 말했다.

내년 대선 때 만 40세를 채우지 못해 출마자격조차 없는 이 전 최고위원이 ‘차기 정치 지도자 선호도’에서 3%를 기록한 한국갤럽 조사 결과를 이런 맥락에서 바라보는 이들도 있다. 익명을 요청한 여론조사 전문가는 “이 전 최고위원의 3% 중 일부는 원래는 윤 전 총장에게 갈 지지였을 수도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간접적 메시지 전달의 한계” 분석도 

윤 전 총장 본인의 목소리가 공개되지 않는 점, 일각에서 ‘간보기 정치’라고 비판하는 일방적이고 간접적인 메시지 전달 방식 때문에 지지율 흐름에 큰 변화가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인환 코리아리서치 수석연구원은 “윤 전 총장이 행보를 시작했다고 하지만 일반 유권자가 체감할 정도는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김춘석 본부장도 “정치에 큰 관심이 있는 경우가 아닌 일반 유권자 입장에서 보면 직접적으로 나서서 메시지를 전달하는 게 아닌 간접적 방식의 행보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허진 기자 bi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