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美, 미얀마 군정 수장 가족도 제재…英도 추가제재 검토

중앙일보

입력

미국이 미얀마 군사정권을 이끄는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의 가족을 상대로 제재를 가했다.

UN 안보리, 폭력진압 규탄 성명 #중·러 반대에 '쿠데타' 표현 빠져

10일(현지시간) AFP통신은 미 재무부가 흘라잉 최고사령관의 두 자녀와 이들이 장악한 기업체 6곳에 대해 미국 내 자산 동결, 거래 금지 등 제재를 내렸다고 보도했다.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로이터=연합뉴스]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로이터=연합뉴스]

미 재무부는 "민주적으로 선출된 버마(미얀마의 옛 이름) 문민정부를 겨냥한 군부의 쿠데타와 시위대에 대한 잔혹한 학살에 대응해 이같이 조처했다"고 밝혔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이번에 블랙리스트에 올라간 기업 6곳 중에는 흘라잉의 아들이 관리하는 A&M 마하르도 포함돼 있다.

인권단체인 '저스티스 포 미얀마'는 의료 사업자인 A&M이 미얀마 식품의약청의 의약품·의료기기 승인과 통관에 간여하면서 이득을 챙겼다고 폭로했다.

건설사·보험사 등 여러 기업을 소유한 흘라잉의 아들은 국영 통신사인 마텔의 대주주이기도 하다.

'저스티스 포 미얀마'는 민 아웅 흘라잉의 가족들이 메디컬 사업을 하고 있으며 미얀마 식품의약청과 세관 등을 통해 수익을 누리고 있다고 폭로했다. 사진은 민 아웅 흘라잉의 아들. [저스티스 포 미얀마 홈페이지 캡처]

'저스티스 포 미얀마'는 민 아웅 흘라잉의 가족들이 메디컬 사업을 하고 있으며 미얀마 식품의약청과 세관 등을 통해 수익을 누리고 있다고 폭로했다. 사진은 민 아웅 흘라잉의 아들. [저스티스 포 미얀마 홈페이지 캡처]

흘라잉의 딸은 2017년 영화 제작사를 공동 설립했으며 고급 체육관 체인인 에버핏의 설립자로 알려져 있다.

민 아웅 흘라잉의 딸(붉은 색 원)[미얀마 나우]

민 아웅 흘라잉의 딸(붉은 색 원)[미얀마 나우]

'저스티스 포 미얀마'는 "2011년부터 총사령관을 맡은 민 아웅 흘라잉이 자기 가족에게 이익을 주기 위해 국가와 군 권력을 남용해왔다"고 밝혔다.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앞서 지난달 11일 미국의 제재 대상에 올랐다.

최근 미국은 미얀마 국방부, 내무부와 미얀마경제 기업(MEC), 미얀마경제지주회사(MEHL) 4곳을 수출규제 블랙리스트에도 올려 압박했으나 미얀마 군부는 아랑곳하지 않는 분위기다.

휴먼라이츠워치의 존 시프턴 아시아 담당 국장은 이번 미 재무부의 조치를 높이 평가하면서도 보다 강력한 제재가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영국 역시 미얀마를 상대로 추가 제재를 검토 중이다.

도미닉 라브 영국 외무장관은 미국이 제재를 부과한 직후 트위터로 "영국도 추가 제재 부과를 검토 중"이라면서 "미얀마 정권이 권력 남용과 인권 침해로부터 이익을 얻어선 안 된다는 우리의 입장은 명확하다"라고 밝혔다.

미얀마 군부가 지난달 1일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뒤 이에 반발하는 시위를 강경 진압해 지금까지 60명 이상이 숨졌다.

미얀마 시민들이 저항을 상징하는 세 손가락 경례를 하며 군부를 규탄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AP=연합뉴스]

미얀마 시민들이 저항을 상징하는 세 손가락 경례를 하며 군부를 규탄하는 시위를 벌이고 있다. [AP=연합뉴스]

이런 가운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는 미얀마 군부의 시위대 폭력 진압을 규탄하는 성명에 만장일치로 동의했다.

안보리는 10일(현지시간) 성명에서 "여성·청년·아이들을 포함한 평화 시위대에 대한 폭력 사용을 강하게 규탄한다"며 미얀마 군부에 '극도의 자제'를 촉구했다.

미얀마 군부에 비교적 우호적이었던 중국을 포함해 15개 이사국이 전원 찬성했다. 이 성명은 '의장성명'으로 공식 채택된다.

의장성명은 결의안 바로 아래 단계의 조치로 안보리 공식 기록에 남는다. 앞서 안보리는 지난달 미얀마 쿠데타와 관련해 "깊은 우려"를 표명한 성명을 냈지만, 의장성명은 이번이 처음이다.

다만 이날 성명 내용은 영국 주도로 작성한 초안과 비교하면 상당히 후퇴했다고 AP통신이 전했다.

초안에는 군부의 행위를 '쿠데타'로 규정하고 유엔 제재 가능성을 언급했으나 수정본에선 이 내용이 빠졌다. 중국과 러시아·인도·베트남이 반대하면서 관련 내용이 수정됐다고 AP 통신이 외교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서유진 기자 suh.youjin@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