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신욕 할 땐 팔 담그지 마세요

중앙일보

입력

"목욕으로 1주일 피로를 말끔히"

요즘 전문 욕조까지 나올 만큼 인기 높은 반신욕은 동의보감에 기술된 두한족열(頭寒足熱.머리는 차갑게 하고 발은 따듯하게 함)이 기본 원리다. 하반신이 따뜻해야 인체의 기운이 제대로 흐른다는 것이다.

반대로 두열족한(頭熱足寒)은 만병의 원인이라는 것이 한방의 시각이다. 따라서 반신욕의 핵심은 몸의 가슴(명치 부근) 아랫부분만을 욕조에 담그는 것이다. 이때 팔은 물에 넣지 않는다. 수온은 체온보다 약간 높은 37 ~ 38도가 적당하다.

경희의료원 한방재활의학과 신현대 교수는 "욕조에 들어간 지 20 ~ 30분이 지나면 몸 안쪽부터 더워져 땀이 발산된다"며 "땀을 통해 몸에 쌓인 독소와 노폐물이 빠져 나간다"고 말했다. 반신욕을 하면 수축된 혈관이 열리며 피가 부드럽게 흘러 혈압이 내려간다. 적응 질환은 생리 불순.생리통.갱년기 장애.냉증.자궁 질환.방광염.요도염.어깨 결림.무릎 신경통.관절염 등이다.

집에 욕조가 없으면 각탕.족탕만으로도 반신욕과 비슷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약간 뜨거운 물(40 ~ 43도)에 각탕은 무릎까지, 족탕은 발목까지 담근다. 이때 상의는 얇게 입는다.

분당차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 김호준 교수는 "10 ~ 20분 발을 담그면 온 몸이 더워져 발은 물론 전신 피로가 말끔히 가신다"며 "땀을 많이 흘리고 난 뒤엔 1시간 안에 염분.물.비타민 C를 적당히 섭취해야 탈수 등 부작용이 생기지 않는다"고 조언했다.

발이 잘 붓거나 냉증이 있는 여성에겐 발 냉.온욕이 권장된다. 42 ~ 43도의 물에 발목 아랫부분을 1 ~ 3분간 담근 뒤 찬 물에 1분간 담그는 것을 반복하면 된다. 피로를 풀고 주중에 쌓인 독소를 제거하려면 아로마 목욕도 시도해볼 만하다. 욕조에 로즈마리 오일 등 아로마 오일을 5 ~ 10방울 떨어뜨리고 손으로 잘 저은 뒤 욕조 안으로 들어간다. 이때 수온이 너무 뜨거우면 안 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