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박정호 논설위원이 간다

칠순 김구의 간곡한 호소 “백성을 위해 진력을 다하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4면

박정호 기자 중앙일보 수석논설위원

서예가 백범을 다시 보다

백범 김구가 1947년 2월 심산 김창숙에게 써준 ‘일송오강’. 사람의 도리를 요약한 5개 강령으로, 70여 년 만에 처음 공개됐다. [사진 은평역사한옥박물관]

백범 김구가 1947년 2월 심산 김창숙에게 써준 ‘일송오강’. 사람의 도리를 요약한 5개 강령으로, 70여 년 만에 처음 공개됐다. [사진 은평역사한옥박물관]

1947년 2월 10일 겨울 찬바람이 불던 날, 백범(白凡) 김구(1876~1949)가 평생 동지인 심산(心山) 김창숙(1879~1962)과 마주 앉았다. 고희(古稀) 전후의 두 노인은 나라의 앞날을 걱정했다. 광복을 맞은 지 3년째 됐건만 진정한 독립은 아직 멀어 보였다. 나라는 남북으로 갈라졌고, 정국은 혼탁하기만 했다. 심산이 백범에게 부탁했다. “백범, 내게도 글씨를 하나 써주시오.”

평생 동지 심산에 써준 ‘일송오강’ #백범 특별전서 73년 만에 첫 공개 #독립운동 매진한 두 거목의 우정 #‘사람이 곧 글씨’ 우국충정 돋보여

중국 임시정부 시절부터 지인들에게 글을 나눠주며 조국 광복을 염원해온 백범이었다. 그가 심산에게 되물었다. “어떤 문구가 좋겠소.” 심산이 답했다. “스승이신 대계(大溪) 선생의 ‘일송오강’(日誦五綱)이 적당할 것 같소.” 백범도 고개를 끄덕였다. 심산의 오늘을 있게 한 대계 선생이 아닌가. 그리고는 ‘일송오강’ 5개 강령 25자를 써내려갔다,

‘천지를 위해 마음을 세우고, 부모를 위해 몸을 세우고, 나를 위해 도를 세우고, 백성을 위해 진력을 다하고, 만세를 위해 규범을 세운다.’(爲天地立心 爲父母立身 爲吾生立道 爲斯民立極 爲萬世立範)

두 노인은 뜻이 통했다. 나라의 장래를 위한 문구로 모자람이 없었다. ‘일송오강’은 중국 만주의 황무지를 개간하고, 독립운동 기지도 세웠던 대계 이승희(1847~1916) 선생이 직접 지어 매일 외던 글귀였다. 심산 자신에게도 좌우명 같은 경구였다.

비타협 정신으로 일관한 대쪽 선비

백범의 ‘칠언구’(왼쪽)와 심산의 ‘청잠’ 유묵. [사진 은평역사한옥박물관]

백범의 ‘칠언구’(왼쪽)와 심산의 ‘청잠’ 유묵. [사진 은평역사한옥박물관]

백범의 유묵 ‘일송오강’이 70여 년 만에 처음 공개됐다. 그간 심산 집안에 내려오다가 지난해 말 서울 은평역사한옥박물관에서 개막한 ‘백범 김구 쓰다’ 특별전에 나왔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현재 박물관은 닫힌 상태지만 ‘일송오강’의 강직한 필획은 답답한 이 시대를 뚫고 나올 듯했다.

‘일송오강’은 백범과 심산이란 한국 현대사의 두 거목을 돌아보게 한다. 그들은 한국 독립운동사에 둘도 없는 동지였다. 심산은 1945년 11월 오랜 망명 생활을 마치고 고국에 돌아온 백범 임시정부 환영대회 부회장은 물론 1960년 4·19 후에는 1949년 6월 안두희의 총탄에 쓰러진 백범 암살 진상규명위원장을 맡았다.

백범 김구

백범 김구

백범은 환국 당시 심산 둘째 아들의 유해를 들고 와서 심산에게 전했다. 중국 중칭(重慶)에서 백범을 도왔던 심산의 차남은 1945년 초 중국에서 눈을 감았다. 심산의 첫아들도 고향 경북 성주에서 독립운동을 하다가 1927년 일제의 고문 후유증으로  사망했다.

일반에 덜 알려진 심산은 일생을 국가 독립과 통일에 매진한 진보적 유학자다. 대의에 입각한 비타협 정신으로 유명하다. 1905년 을사늑약 당시 스승 대계 선생과 함께 을사오적을 처단하라는 상소를 올렸다. 1919년 3·1운동 직후 유림 대표로 일제의 만행을 규탄한 파리장서를 작성했고, 1926년 의열단원 나석주의 동양척식회사 폭탄 투척을 지원했다. 해방 후에는 성균관대를 재건해 초대 학장을 맡기도 했다.

심산 김창숙

심산 김창숙

두 지사는 상해 임시정부 시절부터 각별한 인연을 맺었다. 독립과 통일이란 중대사에서 뜻을 함께했다. 심산사상연구회장을 지낸 김시업 은평역사박물관장은 “‘일송오강’은 백범이 심산에게 써준 글이지만 백범의 마음 자체였다”며 “그들은 반일·항일이란 민족적 사명 앞에서 손을 잡은 혁명적 인간이었다”고 말했다.

이번 전시에선 백범과 심산의 또 다른 글씨가 처음 공개됐다. 백범이 늘 마음에 새긴 칠언구가 그중 하나다. ‘가지를 붙잡고 나무에 오르는 것은 쉬운 일이나, 낭떠러지에서 붙잡고 있는 손을 놓는 것이 가히 대장부다.’(得樹攀枝無足奇 懸崖撒手丈夫兒).

심산은 송나라 학자 정이의 ‘청잠’(聽箴)을 썼다. ‘사람이 떳떳한 마음을 가진 것은 천성에 근본한 것이다. 그러나 앎이 외물에 유혹을 받아 드디어 그 바름을 잃게 되는 것이다.’(人有秉彛 本乎天性 知誘物化 遂亡其正) 심산의 글 앞 찍힌 한반도 모양 낙인도 눈길을 끈다. 도장에 ‘남북일가’(南北一家)를 새겼다. 하나 된 남북에 대한 희구다.

전시의 주인공은 물론 백범이다. 백범의 주요 작품 30여 점이 나왔다. 모두 해방 이후 쓴 것이다. 백범은 이전에도 많은 글씨를 썼으나 아쉽게도 현재 전하는 것은 거의 없다. 백범은 글씨를 여기(餘技)로 쓰지 않았다. 혼란스런 해방 정국, 나라의 앞날에 대한 기대를 담았다. 그에게 글씨는 곧 통일운동이었다.

일례로 백범은 1945년 환국 당일 이순신 장군의 ‘진중음’(陳中吟)을 남겼다. ‘바다에 맹세하니 물고기와 용이 감동하고 산에 맹세하니 초목이 알아주네.’(誓海魚龍動 盟山草木知) 해방된 조국에 대한 포부가 넘친다. 1946년 겨울에는 비서 김우진에게 남이 장군의 시를 써줬다. ‘백두산의 돌은 칼을 갈아 다하고, 두만강의 물은 말이 마셔 없애네’(白頭山石磨刀盡 豆滿江水飮馬無)로 시작하는 그 시다. 호연지기가 넘친다.

반면 1948년 말에 쓴 ‘답설야중거’(踏雪野中去)에는 쓸쓸함이 감돈다. ‘눈 덮인 들판을 걸어갈 때 함부로 어지럽게 걷지 마라. 오늘 내가 가는 이 발자취는 뒷사람의 이정표가 될 것이다.’(踏雪野中去 不須胡亂行 今日我行跡 遂作後人程) 물거품으로 끝난 통일정부에 대한 소회처럼 들린다. 해당 대목을 창작 판소리로 만든 임진택의 낭랑한 목소리도 별도 제작한 영상과 함께 흐른다.

백범과 시대상황 체계적으로 살펴

이번 자리는 백범 글씨의 재평가라는 측면에서도 의미가 크다. ‘글씨는 곧 그 사람’(書如其人), ‘사람과 글씨는 함께 익는다’(人書俱老)는 말처럼 격동의 시대를 껴안아온 백범의 행적을 살필 수 있다. 이동국 예술의전당 수석 큐레이터는 “그간 백범 전시가 종종 열렸지만 백범의 전모를 체계적으로 조망한 적은 거의 없었다”며 “흔히 백범의 특징으로 꼽히는 떨림체(붓끝이 흔들리는 글씨·일명 총알체)와 달리 백범은 ‘일송오강’처럼 엄정·단아한 글씨에도 능했다”고 설명했다. 필적 전문가인 구본진 변호사는 “정사각형에 가깝고 꽉 찬 느낌을 주는 백범의 서풍(書風)은 광개토대왕비를 닮았다”고 분석했다.

전시에는 임시정부 활동상과 함께 서재필·이상룡·조소앙·박열·지청천·이범석 등 독립지사들의 유묵도 소개된다. 이랑 은평박물관 학예사는 “일생을 신념으로 관통한 사람들의 글에선 강한 아우라를 느낄 수 있다”며 "분단 극복과 자유·평등을 향한 보편타당한 목소리를 듣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시는 3월 28일까지. 박물관 측은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휴관을 고려해 전시 일정을 연장할 계획이다.

진보 유학자 김창숙, 집안 노비도 풀어줘

백범의 나라사랑을 보여주는 글씨들. 왼쪽부터 ‘철혈정신’ ‘독립만세’ ‘광복조국’ ‘애국애족’. 백범 유묵 특별전의 대미를 장식하는 코너다. [사진 은평역사한옥박물관]

백범의 나라사랑을 보여주는 글씨들. 왼쪽부터 ‘철혈정신’ ‘독립만세’ ‘광복조국’ ‘애국애족’. 백범 유묵 특별전의 대미를 장식하는 코너다. [사진 은평역사한옥박물관]

“일곱 살 무렵 몸이 불편한 할아버지를 부축해 백범 선생이 머물던 경교장에 갔던 기억이 새롭습니다. 제가 귀엽다고 목욕비 100원을 주셨어요. 어머니가 돈을 보태 황소를 사기도 했었죠.”(웃음)

전화로 들려오는 김위(83)씨의 목소리는 또렷했다. 심산의 손자인 김씨는 가보로 간직해온 김구의 ‘일송오강’을 이번에 처음 내놓았다.

“할아버지께서 어머니께 전해주셨고, 2017년 어머니가 돌아가신 다음 제가 보관해왔습니다. 할아버지께서 백범 선생에게 이 문구를 요청하신 게 아닐까 싶습니다. 백범 선생은 할아버지의 스승인 대계 선생도 잘 알고 계셨거든요.”

김씨는 이번 특별전을 계기로 심산의 진취적 기상이 널리 알려지기를 희망했다.

“종갓집 유학자임에도 집안 종들을 자유인으로 풀어주셨고, 일찍이 상투도 자르셨어요. 절대 불의와 타협하지 말라고 가르치셨어요. 제게는 배를 공부하라고 하셨죠. 우리가 잘살려면 수출을 해야 하는데, 그러려면 배를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죠. 그 뜻을 따라 1957년 서울대 조선공학과에 들어가 평생을 배와 함께했습니다. 요즘 진보, 진보하는데 할아버지만한 진보가 얼마나 있을지 모르겠어요. 나라의 변화와 발전에 헌신하는 게 진짜 진보 아닙니까.”

박정호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