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하품 빼놓고 버릴 게 없다는 소…하지만 그 하품이 문제

중앙일보

입력

2021년 신축년(辛丑年) 소띠 해를 이틀 앞둔 30일 대전의 한 한우농장에서 건강하게 태어난 송아지를 어미가 연신 핥아주고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2021년 신축년(辛丑年) 소띠 해를 이틀 앞둔 30일 대전의 한 한우농장에서 건강하게 태어난 송아지를 어미가 연신 핥아주고 있다. 프리랜서 김성태

2021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올해는 육십 간지의 38번째인 신축년(辛丑年)으로 소띠 해입니다.
신(辛)이 흰색을 뜻하기 때문에, ‘흰 소의 해’로 불립니다.

'소띠 해'에 살펴보는 소와 환경 문제 #메탄가스 배출, 산림파괴·물부족 초래 #소들 한 나라에 모으면 3위 CO2 배출국

소는 풍요와 힘을 상징하고, 재산을 의미하지요.
영어로 소를 뜻하는 ‘cattle’은 자본을 뜻하는 capital과 동일한 어원을 갖고 있습니다.

로마자 알파벳 첫 글자 A가 뒤집어진 소의 머리를 나타낸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소는 인류 문명과 궤를 같이하는 셈입니다.

가축화된 것은 약 1만 년 전

전시회를 위해 나들이한 한국을 찾은 라스코벽화. 실제 프랑스 동굴벽화는 폐쇄된 상태이며 폐쇄직전 3D스캐너 통해 복제한 작품을 재복재 것이다. 중앙포토

전시회를 위해 나들이한 한국을 찾은 라스코벽화. 실제 프랑스 동굴벽화는 폐쇄된 상태이며 폐쇄직전 3D스캐너 통해 복제한 작품을 재복재 것이다. 중앙포토

사실 인류와 소는 문명 이전에, 드넓은 사냥터에서 만났습니다.
3만6000년 전에 그려졌다는 스페인 알타미라 동굴의 벽화에는 들소(bison)가 등장합니다.
1만9000~1만7000년 전에 그려졌다는 프랑스 라스코 동굴 벽화에는 지금은 사라진 소의 조상 오록스(aurochs)의 모습도 담겨 있습니다.

오록스는 원래 유럽·북아프리카와 아시아 곳곳에 분포했습니다.
고대 로마의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쓴 ‘갈리아 전쟁기’에도 오록스에 대한 묘사가 나옵니다.
숫자가 줄어든 오록스는 1627년 폴란드에서 마지막 남은 개체가 숨을 거두면서 멸종했습니다.

소가 가축화된 것은 1만1000~8000년 전입니다.
서아시아에서 혹이 없는 타우린 소(Bos taurus taurus)가, 남아시아에서는 혹이 있는 인디신 소(Bos taurus indicus, 혹은 zebu 소)가 가축화됐습니다.
멸종된 오록스(학명 Bos primigenius)가 이들 인디신 소와 타우린 소의 조상입니다.

북한 주민이 2016년 9월 평안북도 신의주시 압록강변에서 소달구지에 실린 자갈을 물로 씻고 있다.[단둥 로이터=뉴스1]

북한 주민이 2016년 9월 평안북도 신의주시 압록강변에서 소달구지에 실린 자갈을 물로 씻고 있다.[단둥 로이터=뉴스1]

우리 조상들은 “소는 하품밖에 버릴 게 없다”고 했습니다.

살아있을 때 소는 달구지와 쟁기를 끌고 연자방아를 돌리는 동력원으로 쓰입니다. 우유도 제공합니다.

죽은 다음 고기는 물론 내장까지도 먹을거리로 내놓습니다.
소가 남긴 뿔과 가죽도 공예품이나 악기, 옷과 신발 등을 만드는 데 활용합니다.

하지만 남은 하나 소의 하품(트림)과 방귀는 문제가 됩니다.
바로 그 속에 메탄(CH4)이 들어있기 때문이죠.

4개의 위를 가진 반추동물

경북 포항시 전역에 폭염주의보가 발령된 지난해 6월 10일 오후 북구 기계면 젖소 농장 우사에 있는 소들이 대형 선풍기 아래에 모여 더위를 식히고 있다. 뉴스1

경북 포항시 전역에 폭염주의보가 발령된 지난해 6월 10일 오후 북구 기계면 젖소 농장 우사에 있는 소들이 대형 선풍기 아래에 모여 더위를 식히고 있다. 뉴스1

소가 메탄을 배출하는 것은 특이한 소화기관을 갖고 있기 때문입니다.

양이나 염소 등 다른 반추동물과 마찬가지로 소의 위장은 네 개로 이뤄져 있습니다.
첫 번째 위 반추위(혹위, 양), 두 번째 위 (그물위), 세 번째 위(천엽), 네 번째 위(막창)가 그것입니다.

소는 뜯어먹은 풀은 반추위에 저장했다가 다시 입으로 가져와 씹으면서 소화효소와 섞은 뒤 다시 삼키게 됩니다.

이때 생긴 즙은 세 번째와 네 번째 위로 바로 넘기고, 고체 덩어리는 반추위에서 최대 48시간 저장하면서 미생물이 목초의 섬유질을 분해할 시간을 줍니다.
세균·곰팡이·원생동물 등 미생물은 휘발성 지방산을 만들고, 소는 이를 흡수해서 에너지원으로 활용합니다.

반추위가 미생물 발효통 역할을 하는 셈입니다.
반추위에서 자란 미생물은 네 번째 위에서 소화 흡수돼 단백질 공급원 역할도 합니다.

미생물이 성장하고 발효하는 과정에서 메탄 생성 세균은 메탄을 만듭니다.

이산화탄소보다 훨씬 강력한 온실가스

영국의 젖소 농장 AP=연합뉴스

영국의 젖소 농장 AP=연합뉴스

메탄 배출량은 사료의 종류·품질·섭취량에 따라, 소의 크기나 생장률, 환경 온도 등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해외 연구에 따르면 젖소의 하루 메탄 배출량은 151~497g, 육우는 161~323g 정도 됩니다.

메탄은 이산화탄소보다 20배 이상 강력한 온실가스입니다.
소 한 마리가 자동차 한 대보다 환경에 더 나쁜 영향을 미친다는 얘기가 나옵니다.

승용차가 1㎞를 달릴 때 이산화탄소 100g을 배출하고, 이 차가 하루 35㎞씩 주행한다고 했을 때, 하루 이산화탄소 배출량은 3.5㎏이 됩니다.

소가 하루 배출하는 메탄이 250g이라고 했을 때, 이를 이산화탄소로 환산하면, 6.25㎏으로 승용차 두 배 가까이 됩니다.

유엔 식량농업기구(FAO)의 2019년 통계에 따르면 전 세계에는 15억7000마리의 소가 있습니다.

이들 소가 모여 한 나라를 이뤘다고 가정하면, 이 소의 나라는 온실가스 배출량 세계 3위 국가가 됩니다.
중국·미국 다음입니다.

뉴질랜드에서는 지난 2003년 가축 머릿수에 따라 ‘방귀세’를 매기는 방안을 추진하다 축산농민의 반대로 백지화하기도 했습니다.
최근에는 소에게 특수한 사료를 먹여 메탄 배출량을 줄이려는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육류 소비 줄여 기후 위기 벗어나야

지난해 8월 23일 브라질 파라 주 노보 프로그레소 근처에서 발생한 산불이 초지를 태우고 있다. 이곳은 가축을 기르는 농부들이 삼림을 벌채한 곳이다. AP=연합뉴스

지난해 8월 23일 브라질 파라 주 노보 프로그레소 근처에서 발생한 산불이 초지를 태우고 있다. 이곳은 가축을 기르는 농부들이 삼림을 벌채한 곳이다. AP=연합뉴스

소와 관련된 환경 문제는 메탄만 있는 게 아닙니다.
소가 내놓은 배설물은 사람 16명의 몫에 해당하는데, 이로 인한 수질과 토양오염 문제가 있습니다.

소를 방목하기 위해, 사료로 제공할 콩을 재배하기 위해 사람들은 열대우림이 파괴합니다.
소에게 먹일 사료를 생산하는 데 들어가는 물을 고려하면, 우유 1L를 생산하는 데는 물이 1000L가 필요하고, 쇠고기 1㎏을 생산하는 데는 물 1만5500L가 들어갑니다.

지구 온실가스 배출량의 15%는 가축 사육에서 나온다고 합니다.
폴 호킨의 책 ‘드로우다운’에 따르면 육식을 줄이는 것은 냉장고 효율을 개선하는 것, 해상 풍력 발전기를 설치하는 것, 음식쓰레기를 줄이는 것 다음으로 온실가스를 많이 줄일 수 있는 해법입니다.

적정량보다 더 많은 단백질을 섭취하는 미국·캐나다 등지에서는 기후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 당장 육식을 줄이자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한국인의 경우 단백질 섭취량을 줄일 필요는 없겠지만, 식물 단백질 비중을 높일 필요는 있습니다.

또, 쇠고기보다는 돼지고기, 돼지고기보다는 닭고기를 섭취해 환경에 대한 부담을 줄이는 것도 중요합니다.

소띠 해에 소를 꼬집는 얘기라서 마음에 걸립니다.
소의 잘못이 아니라 이것도 결국 사람을 탓해야겠지요.

강찬수 환경전문기자  kang.chasu@joongna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