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면역체계 강화 새 항암제 개발

중앙일보

입력

면역체계를 자극해 암세포를 공격하는 T세포를 많이 만들어내게 하는 새로운 항암제가 개발되어 앞으로 2년 안에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24일 알려졌다.

호주 멜버른에 있는 모나쉬대학 연구팀이 노우드 애비 생명공학회사의 지원 아래 개발한 이 새로운 항암제는 미국과 영국의 6개 의료기관에서 내년 선발된 특정 암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시험에 들어가게 된다. 앞서 호주 빅토리아 주의 스티브 브랙스 총리는 최근 미국에서 열린 US Bio2003 생명공학회의에서 이 약의 효과를 발표했다.

스위스 의료기관들은 미국국립보건연구원(NIH)의 협력 아래 에이즈 환자들에게도 이 신약을 임상시험할 계획이다.

모나쉬대학의 리처드 보이드 박사는 이 항암제가 나이가 들면서 퇴화하는 인후 근처 흉선(胸腺)을 재활성화시킴으로써 암세포와 기타 감염원을 공격하는 면역체계의 첨병인 T세포의 생성을 촉진한다고 밝혔다.

모나쉬대학 연구팀은 작년 줄기세포를 이용, 흉선을 만들어내는 데 세계 최초로 성공한 바 있다.

보이드 박사는 이 새로운 항암제가 전립선암, 유방암, 자궁내막암 환자의 성호르몬 생산을 차단하는 데 사용되는 GnRH계열의 약에 바탕을 둔 것으로 20명의 백혈병 환자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임상시험에서 모든 환자의 T세포가 50% 증가하는 효과가 나타났다고 밝혔다.

환자의 60-80%는 증세가 크게 호전되었다고 보이드 박사는 말했다.

이 새로운 항암제는 구토, 안면홍조, 피부과민 등의 부작용이 있다고 보이드 박사는 덧붙였다. (시드니=연합뉴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