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최초로 맞을 이유 없다" 속도보다 안전 중요하단 정부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손영래 전략기획반장. 연합뉴스

손영래 전략기획반장. 연합뉴스

정부가 23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확보를 둘러싼 논란을 반박하며 "우리나라가 백신을 세계 최초로 맞아야 할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백신 확보에 있어 신속성보다 안전성에 더 무게를 두고 있다는 것이다. 정부는 "백신 안전성은 국민을 위해 절대 놓쳐서는 안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전략기획반장은 이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브리핑에서 "최근 우리 사회 분위기가 백신을 세계 최초로 맞아야 하는 것처럼, 1등 경쟁을 하는 듯한 사회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어 방역당국으로서 상당한 우려를 표한다"고 밝혔다.

손 반장은 "백신은 개발과정에서 상당히 단축돼 안전성 문제는 국민을 위해 놓칠 수 없는 중요한 주제"라며 "이런 사정 때문에 백신을 세계 최초로 맞는 상황은 가급적 피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먼저 접종하는 국가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한두 달 관찰할 기회를 가질 수 있어 굉장히 다행스럽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손 반장은 현재 백신 접종을 시작한 국가들과 한국의 상황이 다르다는 점도 분명히 했다.

그는 "현재 미국과 영국이 접종을 시작했는데, 하루에 미국은 20만명, 영국은 한 3만5000명 정도의 환자가 발생하고 있고, 미국의 누적 사망자는 31만명, 영국은 6만7000명에 달한다"며 "이들 국가는 백신 외에는 채택할 수 있는 방역전략이 별로 없기에 백신에 전력투구하고, 자국 기업을 통해 백신을 개발해 세계 최초로 접종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저희가 이런 국가를 반면교사로 삼기에는 다소 부적절하고, 안전성을 확인하는 과정을 고려할 때 세계에서 1, 2등으로 백신을 맞는 국가가 될 이유는 없다는 것이 보건당국의 판단"이라고 말했다.

국내 접종 예상 시기에 대해선 "안전성이 확인되는 순간 최대한 신속하게 위험도가 큰 대상으로 중심으로 예방접종을 시작하게 될 것"이라며 "정부는 안전성에 대한 국민의 신뢰와 접종을 꼭 하겠다는 긍정적인 반응들을 이끌어내기 위해서 잘 준비하겠다"고 말했다.

김은빈 기자 kim.eunb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