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모든 외국인 입국금지

중앙일보

입력

사스가 빠르게 확산하자 각국이 통제를 강화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과 홍콩에 이어 미국.캐나다의 경제도 사스로 적지않은 타격을 입은 것으로 나타났다.

독일 공영 ARD방송은 23일 "독일 주재 북한대사관 측이 '북한은 23일부터 모든 외국인들의 입국을 중단했다'고 알려왔다"고 보도했다.

방송은 "입국금지 조치가 내리기 전에 입국한 외국인들은 현재 격리돼 있으며 이 가운데는 북한 주재 독일대사관 직원 한 명과 독일인 관광객 두 명이 포함돼 있다"고 전했다.

방송은 "외국인은 물론 외국을 방문했다 귀국한 북한인도 증세에 관계없이 열흘간 격리돼 검사를 받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같은 조치는 외국에서 북한에 입국하려면 사스 위험지역인 베이징(北京) 공항을 거쳐야 하기 때문에 취해지는 것으로 보인다.

세계보건기구(WHO)가 23일 중국 베이징(北京).산시(山西)성, 캐나다 토론토에 대해 추가로 여행 자제를 권고한 가운데 일본도 사스 위험지역에 대한 여행 경보를 '충분한 주의'에서 '여행 연기 권고'로 한 단계 높였다.

베이징 주재 일본대사관은 비자 신청자에게 병원 진단서와 사스 비감염 증명서를 제출토록 했다.

이와 함께 24일 도쿄(東京) 나리타 공항에 체온계를 설치하고 중국과 홍콩 등에서 오는 모든 여행객들을 검사하기 시작했다. 싱가포르도 입출국자 전원을 대상으로 체온 검사를 하고 있으며 이스라엘은 중국에서 온 여행객들의 입국을 아예 금지했다.

미 투자은행인 JP모건은 23일 "사스로 인해 올 2분기 캐나다 경제 성장률이 1~1.5%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사스로 인해 샌프란시스코와 댈러스 등 일부 지역의 관광산업이 타격을 입었다"고 밝혔다.

한편 사스 감염자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던 동유럽의 리투아니아에서도 24일 첫 사스 감염 의심 환자가 발생했다고 AFP통신이 보도했다. 50세로 알려진 이 환자는 3개월 전 말레이시아에 체류했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