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트라제네카 백신, 美FDA 승인 상관없이 식약처가 심사"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제2본부장. [뉴스1]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제2본부장. [뉴스1]

정부가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 여부와 상관없이 아스트라제네카가 개발 중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의 심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권준욱 질병관리청 중앙방역대책본부 제2본부장은 15일 정례브리핑에서 “FDA는 미국 기관이며, 우리나라는 식품의약품안전처 심사를 거친다”며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FDA 승인 여부와 상관없이 우리나라 절차에 따라 (심사를) 진행한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백신을 확보할 때 다른 (국가) 상황이 우리나라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확신한다”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러 가지 상황이 발생할 수 있는 것을 면밀하게 대비하고 준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의 FDA 승인 지연에 따라 국내 백신 도입도 늦어질 것이란 우려가 커지자 내놓은 입장이다.

앞서 정부는 백신 공동구매·배분을 위한 국제 프로젝트인 ‘코백스 퍼실리티’(COVAX facility)를 통해 1000만명분, 글로벌 제약사와 개별 협상을 통해 3400만명분 등 총 4400만명분의 백신을 확보하고 내년 1분기부터 순차 도입하겠다는 계획을 내놨다.

선구매 계약·협약을 맺은 제약사는 아스트라제네카·화이자·존슨앤존슨-얀센·모더나 등 총 4개사이며, 이 중 정부가 선구매 계약을 완료한 유일한 백신은 아스트라제네카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연구개발을 총괄하는 애드리안 힐 제너 연구소장은 지난 9일(현지시간) “FDA가 임상시험이 끝나길 기다리면 2021년 중반이 돼야 미국에서 백신을 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한편 권준욱 제2본부장은 이날 화이자 백신 물량 부족에 따른 공급 부족 우려에 대해서도 답했다. 화이자가 2021년 공급하는 12억 회분에 국내 물량 2000만 회분이 포함돼 있으며, 우리 정부가 확보한 백신 4400만명분 도입에는 차질이 없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홍주희 기자 hongho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