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역대 가장 큰 남송 무역선 닻돌, 제주 신창리 앞바다서 발굴

중앙일보

입력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와 국립제주박물관이 지난 5월 말부터 7월까지 실시한 제주 신창리 해역 수중발굴조사에서 수중 유적인 제주 신창리 해역에서 중국 중세 무역선의 길이 3.1m짜리 대형 닻돌(닻을 매다는 돌) 한 점을 발견했다고 24일 밝혔다.   제주 신창리 해역에서 나온 닻돌. [사진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와 국립제주박물관이 지난 5월 말부터 7월까지 실시한 제주 신창리 해역 수중발굴조사에서 수중 유적인 제주 신창리 해역에서 중국 중세 무역선의 길이 3.1m짜리 대형 닻돌(닻을 매다는 돌) 한 점을 발견했다고 24일 밝혔다. 제주 신창리 해역에서 나온 닻돌. [사진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길이 3.1m, 무게 586㎏에 이르는 대형 닻돌(닻을 매다는 돌)이 수중 유적인 제주 신창리 해역에서 나왔다. 신창리 해역 수중유적은 중국 남송(1127∼1279) 시대 도자기가 다량 발견되고 있는 곳으로 이번 닻돌 역시 과거 중국 무역선이 난파한 흔적으로 보인다.

길이 3.1m, 무게 586㎏…송대 닻돌 중 최대 #신창리 수중유적서 중국 동전도 다량 확인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와 국립제주박물관은 지난 5월 말부터 7월까지 실시한 제주 신창리 해역 수중발굴조사에서 중국 도자기, 동전과 함께 대형 닻돌 1점을 확인했다고 24일 밝혔다. 연구소에 따르면 닻돌은 두 조각으로 쪼개진 채 발견됐다. 전체적으로 긴 마름모꼴로 중앙부가 두툼하고 양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태다. 닻돌 중앙부에는 22㎝의 얕은 홈이 있으며, 고정못을 설치하기 위한 폭 7㎝가량의 홈도 확인됐다.

연구소는 "이런 형태의 닻돌은 중국 송·원대에 유행하던 것으로 나무로 된 닻가지(닻에 달린 갈고리)와 결합돼 배를 정박시키는 데 사용됐다"고 설명했다.

2007년 중국 광둥성 양장(陽江)시 앞바다에서 인양된 난하이(南海) 1호 유물이 전시된 중국 광동성 실크로드박물관의 외부 닻돌 모형. 이번에 발견된 신창리 해역 닻돌은 난하이1호와 비교해 길이는 비슷하고 무게는 1.4배 더 나간다. [사진 문화재청]

2007년 중국 광둥성 양장(陽江)시 앞바다에서 인양된 난하이(南海) 1호 유물이 전시된 중국 광동성 실크로드박물관의 외부 닻돌 모형. 이번에 발견된 신창리 해역 닻돌은 난하이1호와 비교해 길이는 비슷하고 무게는 1.4배 더 나간다. [사진 문화재청]

특히 이번 닻돌은 길이 310㎝, 중심부 폭 36㎝, 중심부 두께 29㎝, 무게 586㎏으로 그간 국내에서 발견된 4점(충남 태안 마도 해역 3점, 전남 진도 명량대첩로 해역 1점)은 물론, 이제까지 발견된 송대 닻돌 통틀어 가장 큰 규모다. 연구소에 따르면 중국 광둥성 양장(陽江)시 앞바다에서 발견된 난하이(南海) 1호의 닻돌이 길이 310㎝, 무게 420㎏으로 가장 컸는데 신창리 해역 닻돌은 이와 비교할 때 길이는 비슷해도 무게가 1.4배 더 나간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양순석 연구관은 “닻돌이 크면 무역선의 크기가 그만큼 큰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신창리 해역의 난파선은 발견되지 않았지만 난하이 1호와 크기를 견줄 수 있는 대목”이라고 설명했다. 2007년 인양된 송대 무역선 난하이 1호는 잔존길이 22.1m, 잔존 폭 9.35m로 선체 내부에서 18만여 점의 유물이 확인된 바 있다.

제주 신창리 해역 수중발굴조사에서 발견된 중국 동전. [사진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제주 신창리 해역 수중발굴조사에서 발견된 중국 동전. [사진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이번 발굴조사에선 중국 동전과 도자기도 확인됐다. 연구소는 "이번에 발견된 동전은 경덕원보(景德元寶), 희령원보(熙寧元寶), 선화통보(宣和通寶)로 모두 북송시대(960∼1127)에 주조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경덕원보와 희령원보는 제주 육상의 절터 등에서 발견된 적 있고 1970년대 전남 신안 앞바다에서 발굴된 신안선에선 수십t 가량의 다양한 동전이 나온 바 있다. 양 연구관은 “과거 바닷길을 통한 남송과 일본, 혹은 한반도 본토 등 동아시아 국제교류에서 제주도의 위치를 가늠해 볼 수 있는 대목”이라고 밝혔다.

제주 신창리 수중유적은 1983년 3월 해녀가 조업 중 발견한 금제장신구를 신고하면서 처음 알려졌다. 지난해 첫 정식 발굴조사에서 중국 남송 시기 저장성 룽취안(龍泉)에서 제작된 다량의 도자기(조각)와 상인이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 인장 2점 등이 확인됐다.

강혜란 기자 theother@joongang.co.kr

관련기사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