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2030년까지 37조 투입…부산항에 ‘한국형 스마트항만’ 가동

중앙일보

입력

16일 부산항 감만부두에서 컨테이너선이 화물을 선적하고 있다. 연합뉴스

16일 부산항 감만부두에서 컨테이너선이 화물을 선적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항만을 자동화·디지털화하는 ‘한국형 스마트항만’을 2030년부터 도입한다. 광양항에 먼저 자동화 기술을 검증한 뒤 새로 짓는 부산항 제2신항에서 본격적으로 운영한다는 계획이다.

해양수산부는 17일 문재인 대통령이 주재한 국무회의에서 전국 항만의 중장기 개발계획을 담은 ‘2030 항만정책 방향과 추진전략’을 보고했다. 핵심은 항만 물류 디지털화다. 항만에 컨테이너를 들이거나 내보내는 과정, 물류를 옮기는 과정을 자율운항 선박·자율주행 차량과 자동 크레인 등으로 자동화하는 게 목표다.

이를 위해 우선 2026년까지 광양항에 5940억원을 들여 테스트베드를 구축한다. 테스트베드를 거친 자동화 기술은 2030년까지 부산항 제2신항(진해신항)에 적용할 계획이다. 무인 수중건설 로봇이나 드론을 활용해 항만 시설을 유지·관리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자동화로 줄어들 일자리 문제에 대해 문성혁 해수부 장관은 “기존의 일자리가 더 양질의 직무로 전환할 수 있도록 노조와 계속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또 권역별로 특화한 항만개발 전략도 추진하기로 했다. 2022년부터 공사에 들어가는 부산항 제2신항은 3만TEU급 대형 선박이 접안할 수 있도록 건설할 계획이다. 물동량 기준 세계 11위 항만인 광양항은 배후산업을 육성해 지역 발전을 지원할 수 있는 항만 체계를 구축하는 게 목표다.

이 밖에도 항만과 지역 상생을 통해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방안도 담았다. LNG 벙커링 터미널(부산, 울산, 광양항 등), 수리조선소(부산, 평택·당진항), 전자상거래 특화구역(인천항) 등을 조성해 지역 일자리를 창출하기로 했다. 항만에서 날리는 비산먼지를 줄이기 위한 밀폐형 방진 하역시스템을 도입하고, 항만과 도심 사이에 수림대 형태의 ‘친환경존(Eco-zone)’을 설정하는 등 항만 주변의 환경 피해를 줄이는 기능을 더할 계획이다.

중서부 해역 최서단 도서인 격렬비열도는 국가관리연안항으로 예비 지정하는 내용도 포함했다. 격렬비열도에 해양경찰·어업지도선 부두를 확충해 중국 어선의 불법 조업 단속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정부는 약 37조원의 재원이 투입되는 이번 계획으로 55만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했다. 문 장관은 “이번 전략에 따라 앞으로 10년 동안 항만 개발을 추진해 한국이 항만물류 선진국으로 발돋움하고 세계 경쟁력을 갖춘 디지털 항만을 실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세종=임성빈 기자 im.soungb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