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문 대통령 또 종전선언 언급…김여정 6월 담화가 도화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문재인 대통령이 8일 청와대에서 열린 ‘사회서비스원 돌봄 종사자 영상 간담회’에서 돌봄 종사자들의 경험담 및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있다. 오른쪽은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8일 청와대에서 열린 ‘사회서비스원 돌봄 종사자 영상 간담회’에서 돌봄 종사자들의 경험담 및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있다. 오른쪽은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대표. [청와대사진기자단]

문재인 대통령이 8일 종전선언을 다시 언급했다. 공교롭게 이날 오후 북한군에 의해 사살된 해양수산부 공무원 이모(47)씨 아들이 문 대통령에게 “아빠가 죽임을 당할 때 나라는 뭐했나”는 취지로 쓴 편지가 전달됐다.

김여정 당시 “남조선 것들과 결별” #당청 “북한식 대화재개 의사” 해석 #유엔 이어 코리아소사이어티 연설 #같은 날 피살자 아들 편지 전달돼

문 대통령은 이날 영상 메시지로 진행한 코리아소사이어티 기조연설에서 “종전선언이야말로 한반도 평화의 시작”이라며 “한반도 종전선언을 위해 한·미 양국이 협력하고 국제사회의 적극적인 동참을 이끌게 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코리아소사이어티는 한·미 간 정치·경제·문화 분야 교류 촉진을 위한 비영리단체다.

문 대통령은 “어렵게 이룬 진전과 성과를 되돌릴 수는 없으며 목적지를 바꿀 수도 없다”며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종전선언→평화협정 체결→항구적 평화체제) 구상을 밀고 나갈 뜻을 분명히 했다.

문 대통령이 종전선언을 직접 거론한 것은 지난달 23일 유엔총회 연설 이후 보름 만이다. 당시 문 대통령은 “이제 한반도에서 전쟁은 완전히, 그리고 영구적으로 종식돼야 한다. 그 시작은 평화에 대한 서로의 의지를 확인할 수 있는 한반도 종전선언”이라고 말했다. 당시 연설은 전날 북한이 이씨를 사살한 직후 공개되면서 부적절했다는 논란이 일었다. 이에 대해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연설 녹화본이 이미 유엔으로 발송된 뒤였다”고 해명했었다.

종전선언과 관련, 여권 핵심 관계자는 청와대·여당에서 논의가 본격화된 시기가 지난 6월 김여정 북한 노동당 제1부부장의 담화 이후라고 전했다. 김 부부장은 6월 4일 보수단체들이 대북 전단을 살포하려 하자 “이제는 그 주인에게 책임을 물어야 할 때”라며 한국 정부에 책임을 돌렸다. 같은 달 13일에는 “확실하게 남조선 것들과 결별할 때가 됐다”고 했고, 16일 남북 공동연락사무소가 폭파됐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이와 관련, “북한의 문법으로 봤을 때 오히려 종전선언 등 평화 프로세스를 위한 대화 재개 의사를 밝힌 것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실제 더불어민주당과 열린민주당·정의당 등 범여권 의원 173명은 담화 직후인 6월 15일 ‘한반도 종전선언 촉구 결의안’을 발의했다. 문 대통령 역시 6·25 연설에서 “이 오래된 전쟁을 끝내야 한다”고 했다. 이씨 피살 직후인 지난달 28일엔 “이번 비극적 사건이 사건으로만 끝나지 않고 대화와 협력의 기회를 만들고 남북관계를 진전시키는 계기로 반전되기를 기대한다”며 공동조사 등을 제안하기도 했다.

◆ 김종인 “답장보다 대통령다운 행동을”=김종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이날 비대위 회의에서 문 대통령에게 “(피살 공무원의) 아들이 기다리는 건 답장이 아닌 대통령다운 행동”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진상을 밝히고 국민께 사죄하며 북한에 책임을 당당하게 물어야한다. 시간이 지나면 잊히리라 생각하면 큰 오산”이라고 말했다.

강태화 기자 thkang@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