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노벨 생리의학상에 영·미 학자 3명…"C형 간염 바이러스 발견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2020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가 공개되고 있다. [AFP=연합뉴스]

2020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가 공개되고 있다. [AFP=연합뉴스]

2020년 노벨 생리의학상은 하비 올터(85) 미국 국립보건원(NIH) 박사와 마이클 호턴(70) 캐나다 앨버타대 교수, 찰스 라이스(68) 미국 록펠러대 교수에게 돌아갔다.

스웨덴의 카롤린스카의대 노벨위원회는 C형 간염 바이러스 발견에 결정적 기여를 한 공로를 인정해 이들 3명을 노벨 생리의학상 공동수상자로 선정했다고 5일(현지시간) 발표했다.

이들은 C형 간염 바이러스를 발견함으로써 간경변과 간암의 주요 원인인 혈액 매개 간염 퇴치에 기여한 공로가 있다고 노벨위원회는 평가했다. 노벨 위원회는 “C형 간염 바이러스가 발견되면서 만성 간염의 원인이 밝혀졌고 수백만 명의 생명을 구한 혈액검사와 신약 개발도 가능해졌다”고 선정 이유를 밝혔다. 수상자에게는 상금 900만크로나(약 10억9000만원)가 주어진다.

올터 박사는 1970년대 중반 수혈을 받은 환자의 간염 발생을 연구하던 중 A형 간염과 B형 간염이 아닌 다른 바이러스가 간염을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호턴 교수는 감염된 침팬지 혈액에서 C형 간염 바이러스라는 존재를 처음으로 규명했다. 라이스 교수는 C형 간염 바이러스의 내부 단백질 구조를 처음 밝혀 C형 간염 바이러스의 존재만으로도 간염을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최종기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C형 간염은 말라리아·결핵·에이즈(HIV)와 함께 4대 감염 질환 중 하나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며 “이들의 C형 간염 바이러스 규명으로 현재 95% 이상의 C형 간염 바이러스 환자가 치료 가능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또 “국내 간경변증의 10%, 간암의 20% 정도가 C형 간염 바이러스 때문으로 보고되고 있다”며 “2015년 이후 C형 간염 바이러스에 대해 완치 가능한 경구 항바이러스제가 나와 있다”고 덧붙였다.

지난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미국의 윌리엄 케일린ㆍ그랙 세멘자 교수와 영국의 의사이자 세포 및 분자 생물학자 피터 랫클리프 경이 공동 수상했다. 이들은 세포가 산소 농도에 적응하는 과정을 밝혀내 빈혈과 암 등 혈중 산소농도와 관련된 질환의 치료법 수립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노벨 생리의학상은 1901년 처음 만들어졌다. 이후로 지난해까지 총 110차례, 219명이 생리의학상을 받았다. 1901년 첫 수상자는 디프테리아의 백신 개발 및 혈청 치료를 연구한 독일의 생리학자 에밀 폰 베링(1854~1917]이었다. 수상자를 국가별로 보면 미국이 106명으로 가장 많은 수상자를 배출했다. 영국ㆍ독일ㆍ프랑스 등이 뒤를 잇고 있다. 생리의학상 역대 수상자의 평균 연령은 57세로 1950년대 이후 계속 수상자 연령이 증가하고 있다. 국민의힘 조명희 의원이 한국연구재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의 평균 연령은 68세다.

노벨상 메달 [AP=연합뉴스]

노벨상 메달 [AP=연합뉴스]

올해 노벨상은 생리의학상을 시작으로 6일 물리학상, 7일 화학상 순서로 진행된다. 이어 12일까지 평화상ㆍ경제학상ㆍ문학상도 공개된다. 매년 12월 스웨덴 스톡홀름에서 열리던 시상식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로 오프라인 시상식 대신 TV 중계로 대체될 예정이다. 노르웨이에서 열리는 노벨평화상만 규모를 축소해 오슬로 대학 강당에서 진행된다.

권유진 기자 kwen.yujin@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