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염병 확산 방지 시스템 필요

중앙일보

입력

위세를 떨치던 콜레라 사태가 진정국면에 접어들었다. 그러나 발생 이후 소강상태에 이르는 과정에서 여러가지 문제점이 드러났다.

먼저 콜레라 발생 위험지역의 해수.하수, 수족관의 물, 어패류에 대해 미리 콜레라균 배양검사를 철저히 하지 않았다.

이를 제대로 했다면 환자 발생을 예방할 수 있었을 것이다. 유사환자가 발생한 뒤 확인하는 데까지 시간이 많이 걸린 것도 사태를 악화시킨 요인이다.

자신들에게 나타난 증세를 설사병 정도로 대수롭지 않게 여긴 환자들, 설사를 하면서도 계속 영업한 식당 종업원의 위생 불감증도 사태를 부추겼다.

콜레라가 몇년간 발생하지 않았다고 해서 관계당국이 교육.예방을 소홀히 한 것은 이해할 수 없다. 의료기관에서 법정 전염병 환자를 제때 신고하지 않은 것도 문제다.

신고해야 할 전염병 종류가 많고, 신고절차도 복잡하며, 의무만 있을 뿐이어서 의료인들이 소극적으로 대처하는 것도 사실이다.

보건부문은 예산편성에서 뒷전으로 밀리고 있다. 때문에 재정이 취약하고 구조조정으로 인한 인력감축으로 숙련된 역학 조사관과 보건환경 연구원이 부족하다.

이것이 결국 콜레라와 같이 빠르게 확산되는 전염병을 조기에 차단하는 데 실패하는 결과를 낳았다. 전염병 예방을 위해선 많은 인력과 재정을 투입해야 한다.

행정당국은 중장기 계획을 세워 인재를 양성하고 물질적으로 충분히 지원해야 한다. 또 계절별 집중관리 대상이 되는 전염병을 의료기관에 홍보하고 유사환자를 쉽게 신고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