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우리말 바루기] ‘전셋값’엔 있고 ‘전세가’엔 없는 것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4면

새 임대차법 시행 이후 전세 매물이 줄어들면서 서울 아파트 전셋값이 오름세라고 한다. 이와 관련해 “전셋값이 급등하면서 서울 외곽 지역과 수도권으로 매매 수요가 옮아가고 있다” “대출 규제, 보유세 인상 등으로 전세가 강세, 매매가 약세 장이 펼쳐질 것”이라는 등의 기사를 볼 수 있다.

이처럼 전세를 사는 비용을 나타낼 때 ‘전셋값’ 또는 ‘전세가’라는 말을 사용한다. 두 단어는 같은 뜻을 가지고 있지만 하나에는 사이시옷이 있고 다른 하나에는 없다. ‘전세가’에는 왜 사이시옷이 들어가지 않는 것일까? 이와 같이 어느 경우에 사이시옷을 넣는지 궁금해하는 사람이 많다.

순우리말 또는 순우리말과 한자어로 된 합성어 가운데 앞말이 모음으로 끝나고 뒷말의 첫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경우 사이시옷을 집어넣는다. ‘바다+가=바닷가[바다까]’ ‘차+잔=찻잔[차짠]’ 등이 이러한 예다. 또한 ‘퇴+마루=툇마루[퇸마루]’와 같이 뒷말의 첫소리 ‘ㄴ’ ‘ㅁ’ 앞에서 ‘ㄴ’ 소리가 덧나는 경우 사이시옷을 추가한다. ‘뒤+일=뒷일[뒨닐]’에서처럼 뒷말의 첫소리 모음 앞에서 ‘ㄴㄴ’ 소리가 덧나는 것에도 사이시옷을 넣어야 한다.

‘전셋값’의 경우도 한자어로 된 ‘전세(傳貰)’와 순우리말 ‘값’이 만나 뒷말이 된소리인 [전세깝]으로 발음되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넣은 것이다. ‘전셋집’ 또한 한자어와 순우리말이 만나 [전세찝]으로 소리 나므로 사이시옷을 덧붙여야 한다. 그러나 ‘전세가(專貰價)’는 각 음절이 모두 한자어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사이시옷을 넣지 않는다.

김현정 기자 nomadicwriter@naver.com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