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경시 악화되는 두통

중앙일보

입력

편두통은 여자들에게 더 많이 발생하는 두통으로서 편두통을 겪는 사람의 약 75%가 여성이다. 또, 많은 여성들이 월경을 전후해 두통을 겪는다.

이렇게 여성에서 두통이 더 문제시되기 때문에 편두통과 여성 호르몬의 관계에 대해 많은 연구가 있었으며 또 진행되고 있다.

편두통을 겪는 많은 여성들이 편두통을 최초의 월경이 시작되는 초경, 월경, 경구피임제의 복용, 임신초기나 출산 직후, 폐경이나 호르몬 대체요법 시와 같은 시기에(즉, 여성 호르몬의 변화가 급격한 시기) 경험한다.

이런 사건들은 성호르몬의 농도와 주기에 변화를 주며 두통의 빈도나 강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데 이 시기에는 여성 호르몬, 그 중에서도 에스트로겐의 변화가 급격한 때라는 것이다.

임상적인 경험에 의하면 월경 편두통은 60-70%까지 보고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여성에서도 월경기간동안에 두통, 편두통 발작이 증가한다.

그러한 두통의 원인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면 월경편두통menstrual migraine과 월경전이나 월경중에 생리통과 동반되어 나타나는 월경 유발성 두통menstrally triggered migraine으로 나눌 수 있다.

월경편두통은 흔하지는 않지만 월경 동안에만 일어나는 발작으로 에스트로겐 농도가 심하게 변화할 때 민감한 여성에서 편두통 발작을 유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월경 유발성 편두통은 월경동안과 그 이외의 기간에 일어나는 두통으로 보통 욱신거리지는 않으며 근육긴장성 두통과 같은 특성으로 나타나고 월경전 증후군과 동반되어 생기기도 하는데 세로토닌 통증계serotonin pain-modulating systems를 포함하여 중추신경 고유의 리듬과 관련된다.

월경편두통은 사람을 지치게 하고, 오래 지속되고 치료에 반응이 없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최근에는 많은 약물이 사용되고 있는데 치료에 흔히 사용되는 효과적인 약물은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제NSAIDS, 디하이드로에르고타민dihydroergotamine, 트립탄triptans, 아스피린aspirin, 아세토아미노펜acetoaminophen, 카페인caffeine 등이 있으며 수마트립탄 sumatriptan의 주사 혹은 경구투여가 효과적으로 쓰이기도 한다.

월경편두통에 예방적으로 약물을 투여하기도 하는데 지속적인 예방 치료의 목적은 빈도, 기간, 발작의 강도를 줄이는 것이다.

예방적인 약물을 사용하면서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는 용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월경동안만 편두통이 있는 경우는 단기간 예방적으로 생리전후에만 투여할 수 있다. 만약 급성적이고 예방적 치료로 잘 조절되지 않는 경우에는 호르몬 치료가 적용될 수 있다.

[출처]신경정신과 정보센터(http://www.neuropsy.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