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 오히려 대형은행에서 자금세탁 지속돼

Join:D

입력

업데이트

[출처: 셔터스톡]

멕시코 금융정보부가 최근 발표한 보고서에서 “범죄자들의 자금세탁이 여전히 전통 대형은행에서 벌어지고 있다”고 밝혔다. 멕시코는 중남미 일대에서 마약 등의 불법 상품을 빈번히 유통하고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 보고서에서는 암호화폐와 P2P 핀테크 거래에 의한 자국 내 자금세탁은 언급되지 않았다.

#멕시코 금융정보부도 놀랐다…대형은행에서 되레 자금세탁 수요↑

멕시코 금융정보부에 따르면 범죄자들의 자금 경로를 분석하기 전에는 대형은행을 통한 자금세탁이 크지 않을 것으로 예상됐다. 멕시코에서는 ‘G7 은행’이라고 불리는 대형은행들이 있다. 시티바나멕스·BBVA밴코머·뱅코 산탄데르 멕시코·바노르테·HSBC 멕시코·스코티아방크 인버라트·뱅코 인부르사가 멕시코 G7 은행에 해당된다. 최초에 멕시코 금융정보부는 해당 은행들이 제도권 규제 영역에 철저히 포함돼 있기 때문에 범죄자들의 자금세탁 수요가 적을 것으로 내다봤다. 오히려 G7 바깥에 있는 금융 시스템 부문들에서 자금세탁 사례가 많이 나올 것으로 예상했다. 멕시코 금융정보부는 이 부문들에 암호화폐나 P2P 핀테크 등의 구체적 사례를 이야기하지는 않았지만, 규제권 바깥에 있는 금융 분야의 자금세탁을 가설로 세웠다.   

그러나 보고서에 따르면 가설과는 달리 대형은행에서 되레 자금세탁 수요가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모습을 보였다. 보고서는 “특히 멕시코 제도권 중의 제도권 은행이라고 할 수 있는 G7 은행이 자금세탁의 근원지였다”라고 덧붙이며 되레 규제를 강하게 받는 전통 은행이 자금세탁을 주도했다고 분석했다.

#멕시코, 규제 아닌 규제…제3국에서 암호화폐 수요가 꾸준한 이유  

멕시코는 중남미에서 핀테크 스타트업이 가장 많은 곳이다. 상대적으로 규제가 느슨한 핀테크 스타트업의 자금세탁 진입장벽이 더 낮을 것이라고 판단하는 건 당연한 일이다. 그럼에도 이번 멕시코 금융정보부의 보고서는 그 반대의 결과를 보여줬다.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디크립트는 이에 대해 멕시코의 과거를 예시로 들었다. 멕시코는 표면적으로 자금세탁을 규제하는 나라지만, 내부 부패가 심각한 곳으로 잘 알려져 있다. G7 은행 중에서도 대형 은행에 속하는 HSBS 멕시코의 경우, 2012년에 자금세탁을 용인했다는 이유로 미국 당국에 19억 2000만 달러의 벌금을 부과 받은 바 있다. 당시 멕시코와 콜롬비아의 마약 카르텔이 자금 세탁을 위한 창구로 버젓이 HSBC 멕시코 은행을 이용했기 때문이다. 곧, 규제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중앙 제도권이 규제에 대한 통제권을 상실한 셈이다. 이러한 이유로 정치·경제가 마비된 일부 제3국 국민들은 중앙 정부에 대한 불신을 벗어나기 위해 암호화폐 등의 대안 자산을 꾸준히 탐색하고 있는 상황이다.        

박상혁 기자 park.sanghyuk@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