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사설

과학까지 적폐 청산 대상?…학문 영역 침범 말라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0면

지난 정권에서 임명된 신성철 KAIST 총장이 정부의 무리한 고발로 검찰 수사를 받았지만 무혐의 처분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그를 검찰에 고발한 지 20개월 만이다.

과기부가 고발한 신성철 KAIST 총장 무혐의 #과학계 기관장 교체, 블랙리스트와 뭐가 다른가

과기부의 주장은 신 총장이 2012년 DIGIST 총장 시절 미국 로런스 버클리 국립연구소(LBNL)에 장비 사용료를 이중 지급하고 교수 채용 과정에 부당 개입했다는 것이다. 2018년 고발과 함께 KAIST에 직무정지를 요청했지만 이사회가 거부했다. 총동문회와 과학계까지 나서 신 총장을 옹호하고 정부의 무리한 행태를 비판했다.

당시 KAIST 교수회는 “평생 연구 잡음이 없던 신 총장과 노벨상 수상자를 13명이나 낸 LBNL을 연관시켜 배임·횡령이 있을 것으로 유죄 추정하는 것은 잘못”이라고 했다. LBNL도 언론 인터뷰에서 “계약 및 공동연구 과정엔 문제가 없다”며 한국을 ‘원더랜드(이상한 나라)’라고 표현했다고 한다.

처음부터 과학계는 “문재인 정부가 학자들까지 무리하게 적폐로 내몬다”며 반발했다. 신 총장이 박근혜 전 대통령과 초등학교 동문으로 영남대 이사까지 지낸 경력 탓에 과학계의 적폐로 몰렸다는 것이다. 당시 네이처도 “한국 과학자들이 부당한 처사에 저항하고 있다”며 비중 있게 다뤘다.

실제로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임기를 못 채우고 옷 벗은 기관장만 박태현(한국과학창의재단)·조무제(한국연구재단) 등 12명이다. 2018년 4월 임기 2년을 남기고 사퇴한 임기철 전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장은 “과기부 차관한테 ‘촛불정권이 들어섰으니 물러나야 하는 것 아니냐’는 말까지 들었다”고 했다.

정권이 바뀌었다고 임기가 남은 기관장을 잘못도 없이 내치는 것은 지난 정권의 ‘블랙리스트’와 무엇이 다른가. 과학자에게 적폐 딱지까지 붙여 내쫓는 것은 ‘촛불정권’을 자임하는 현 정부에서 더더욱 있을 수 없는 일이다.

그뿐이 아니다. 현 정권에서도 대학 구성원들이 뽑은 후보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며 거부하는 행태가 반복되고 있다. 지난 2월 공주교대는 개교 이후 처음 직선제를 도입해 66.4%의 압도적 지지를 받은 이명주 교수를 추천했지만 교육부가 거절했다. 구체적 이유는 밝히지 않았다. 재선거해 후보를 다시 추천하란 뜻이다. 이 교수가 행정법원에 소송을 냈고, 구성원들이 규탄 집회까지 벌였지만 총장 자리는 7개월째 공석이다.

과학과 교육은 백년대계라는 말처럼 그 어떤 곳보다 장기적 리더십이 필요한 분야다. 새 정권이 들어섰다고 기관장부터 갈고, 정부 코드에 맞는 사람만 총장에 앉히려 한다면 미래는 암울하기 짝이 없다. 민주주의는 정치뿐 아니라 학문의 영역에도 필요하다. 권력의 외압과 입김에 간섭받지 않는 학문의 자유와 다양성이 보장될 때 창의성과 혁신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