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저병 가축, 먹지도 만지지도 말라

중앙일보

입력

구제역에 이어 국내에서 5년만에 탄저병이 발생함에 따라 축산농가와 소비자들 사이에 비상이 걸렸다.

탄저병은 순식간에 전염되는 구제역과는 달리 전염이 빠르지는 않지만 감염된 가축은 24시간 이내에 급사하는데다 사람에게도 감염될 수 있어 제2종 가축전염병으로 지정돼 있다. 다만 닭 등 가금류는 감염되지 않는다.

탄저병의 인체 전염은 이 병에 감염된 동물이나 조직의 피부접촉, 고기 섭취 등을 통해 이뤄지기 때문에 축산농은 감염 가축을 만지는 것을 피하고 땅속 깊이 묻는 것이 최선이다.

특히 인체감염의 위험을 피하기 위해서는 `죽은´ 소나 돼지를 임의로 해체, 먹는 것을 절대 피해야 한다.

이번 경남 창녕의 탄저병 환자 발생도 마을 늪 주위에 쓰러져 죽어있는 소를 마을 주민들이 임의로 해체해 나눠 먹은데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졌다.

탄저병 감염여부는 콧구멍과 귀에서 피가 흐르는 임상 증상만으로 쉽게 판별할 수 있으며 도축과정에서도 탄저병에 걸린 소는 비장이 2∼5배 이상과대 증상을 보이기 때문에 쉽게 판단할 수 있다.

갑자기 쓰러져 죽거나 혈액배출, 혈변성 설사, 고열 등 증세를 보이는 가축이 나타날 경우 시.도 가축위생시험소나 수의과학검역원 등 방역당국에 즉시 신고해야 하는 것은 물론이다.

농림부 관계자는 "탄저병에 걸린 가축은 익혀먹거나 끓여먹는다 해도 인체에 감염되지 않는다고 확신할 수 없다"며 "정상도축 및 유통 과정을 거친 육류 외에 죽은 가축을 만지거나 고기를 먹는 것을 금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주호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