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대정부 대화속 "5∼7일 폐업" 지침

중앙일보

입력

정부와 의료계의 대화가 시작된 가운데 의사협회가 `5∼7일간 타협없는 폐업투쟁´을 내부지침으로 정한 사실이 22일 확인돼 단기간내 의료대란이 해결되기 어려울 것으로 우려된다.

대한의사협회는 정부와 1차 협의가 이뤄진 21일 전국 회원들에게 보낸 투쟁 지침을 통해 "정부는 폐업투쟁이 3∼4일을 못 갈 것으로 착각하고 있지만 5∼7일을 넘기자"고 회원들에게 종용했다.

김재정(金在正) 회장과 신상진(申相珍) 의권쟁취투쟁위원장 명의로 된 이 지침은 또 "의권승리의 날을 위해 투쟁의 고삐를 늦추지 말자"며 "당근을 받아먹지 말고 의연히 투쟁해 승리를 바로 쟁취하자"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의료계 폐업투쟁 이후 처음으로 21일 물꼬를 튼 정부와 의료계간 협상이 계속 진행되더라도 합의점이 도출되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특히 서울대 의대교수들이 정부조치 요구시한인 이날 오전 비상총회를 열어 사직서 제출을 결의하고 다른 대학들도 뒤따를 전망이어서 23일부터 응급실,중환자실 등 응급진료 부문의 진료중단 으로 인한 `의료재앙´의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날 의료계는 3일째 집단휴진에 들어가 전날과 마찬가지로 전국 1만9천여 동네의원중 90% 안팎이 문을 닫고 전공의들이 파업에 들어간 종합병원도 외래진료가 중단돼 환자들의 고통이 계속됐다.

한편 21일엔 첫날인 20일 휴진했던 의원중 2% 정도인 340개 의원이 진료에 복귀하고 일부 의원은 휴진상태에서 단골환자에 대한 진료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틀간 병원을 전전하다 사망하거나 산모가 병원을 찾지못해 30시간 이상을 헤매는 사태가 잇따른데 이어 이날도 비슷한 상황들이 속출했다.

또 국공립병원과 보건소, 대형병원 응급실에 환자들이 평소의 2∼3배 이상 몰리는 현상이 3일째 이어졌고 병원 응급실들이 의료인력 부족을 겪으면서 비상진료체계의 차질도 노출되기 시작했다.

복지부는 전국의 1339 응급의료정보센터에 전화회선과 인력을 확충하고 진료공백 문제가 상대적으로 심각한 대도시를 중심으로 응급의료기관에 군 의무요원과 공중보건의사들을 확대 배치했다.(서울=연합뉴스) 이재웅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