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스 없이 사는 부부(Unconsumated marriage)

중앙일보

입력

육체적 교통두절 때문에 부부관계에 금이간 경우를 자주 볼 수 있다. 육체적 단절이 ´칼로 물베기´식 다툼을 ´칼로 살베기"식 살벌한 싸움으로 변화시켜 이미 금이간 틈새를 더욱 크게 벌려 놓는 일이 드물지 않다. 그리고 만남의 인연을 쉽게 파기한 후 서로 등을 돌린다. 남녀간의 섹스란 그만큼 인연의 줄을 두텁게하는 위력을 지니고 있다.

하지만 성적 두절 상태로 평생을 살아가는 부부도 많다. 통신이 마비된 부부 관계. 고장난 통신시설을 점검하여 재교통시킬려는 의지도 노력도 없다. 상대방도 수리를 요구하지 않는다.

그렇다고 부부간의 거울을 깨지도 않는다. 명목상의 커플일 뿐이다. 이와 같은 유명무실한 부부 관계(Unconsumated marriage)의 기질적 원인은 발기부전(주로 발기유지능력의 결여), 심한 조루증과 같은 남성 요인이 74%, 질경련이나 처녀막 트러블 때문에 질(姪)이 페니스를 받아들이지 않는 여성 요인이 16%, 남녀가 함께 책임을 져야 하는 경우가 6%로 알려져 있다.

그외에도 섹스에 대한 무지나 오해, 종교적 신념, 동성애, 약물 복용이 부부간의 교통을 막는 요인이다.

모노가미(Monogamy)가 문명사회의 이상적 결혼제도로 정착된 이래 법률과 윤리의 보호를 받는 유일한 성행동은 부부간의 육체관계이다. 부부간의 섹스는 부부관계를 다져주는 접착제 역할을 한다. 육체를 서로 공유하며 정신적 공감의 띠를 더욱 확대시킬 수 있는 자연스럽고 당연한 행위이다.

그래서 결혼이란 짝짓기를 통해 남녀가 상호보완관계를 유지, 삶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한다. 그러나 육체적 커뮤니케이션이 단절된 부부는 동체의식을 기대할 수 없다. 성치료와 카운슬링 그리고 남성의학의 도움을 받아 닫혀진 문을 열어 줄 필요가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