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찌는건 너무 두려워!! 신경성 식욕부진

중앙일보

입력

‘35킬로그램 아우슈비츠의 모습’ 카렌의 프로듀서가 극도로 마른 그녀의 몸을 두고 한 말이다. 이렇듯 신경성 식욕부진 환자는 무리하게 다이어트를 하고 거의 굶다시피 함으로써 극도로 마르게 된다. 살찌는 것을 몹시 두려워하고 마르고 싶은 욕망이 너무 큰데 따른 것이다.
신경성 식욕부진은 이러한 두려움으로 인해 음식을 의도적으로 거부하거나 먹은 음식을 제거(구토, 지나친 운동, 약물복용을 통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병은 젊은 여성과 10대 소녀들에게서 많이 나타난다. 현재 후기 청소년기와 초기 성인기 여성의 1% 정도가 이 병으로 고생하고 있다. 보통 남성들이 이병에 걸리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여자가 전체 환자의 95%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여성에게서 많이 나타나는 질병이다.

일반적으로 장애의 초기단계에서 환자들이 보여주는 특징은 요즘 자주 쓰는 말 그대로 ‘오바’하며 매우 분주하고 오랫동안 과도한 운동을 하는 것이다. 그러나 초기상태가 지나고 몸무게가 점차적으로 줄어감에 따라 환자들은 지치고 무기력해진다. 또한 피부는 건조해지고 머리카락이 얇아지는 것과 동시에 마치 어린 아기처럼 솜털이 몸 곳곳에서 자라기 시작한다. 굶게 되면 호르몬에 변화가 생겨 월경이 나오지 않게 되기도 한다. 때로 이 환자들은 폭식을 한 후 일부러 토하거나 체중을 줄이기 위해 설사약을 먹기도 한다. 카렌의 경우도 예외는 아니다. 그녀가 뉴욕의 프로듀서 집에 머물 동안 그의 부인은 집안의 곳곳에서 설사약을 발견했으며 이에대해 카렌은 단지 안전을 위해서 비치해 두었을 뿐 먹지는 않았다고 말했다고 한다.

신경성 식욕부진 환자들의 또 하나의 특징은 자신의 몸에 관해 왜곡된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그들은 자신이 실제보다 뚱뚱하다고 믿고 있다. 전문가들은 “음식과 체중이 그들이 생각하는 전부”라고 말한다. 그들은 자신이 과체중 이라고 생각해 심지어 체중이 위험한 수준까지 감소되었을 때조차 먹는 것을 거부한다. 이러한 음식거부는 실제로 매우 위험하다. 체액과 무기원소의 균형을 해치며 때때로 불규칙적인 심장박동, 심장마비, 신부전등을 부를 수 있기 때문이다.

1981년 전문가의 도움을 청할 때 카렌의 상태도 매우 심각했다고 한다. 그녀는 하루에 한번씩 설사약을 복용해왔고 갑상선약물을 시작하고 있었다. 체내 대사를 빠르게 해 더 많은 칼로리를 없애기 위함이었다. 그때의 카렌을 보고 담당의는 “33kg 짜리 탈수상태의 해골”이라고 묘사하기도 했다.

그러면 신경성 식욕부진 환자들은 정상적인 체중으로 복귀할 수 없는가. 물론 대답은 ‘그렇지 않다’이다. 병원에서 치료받을 경우 신경성 식욕부진환자들은 정상적인 체중으로 돌아올 수 있다. ‘식사장애에 관한 이해’라는 책의 저자 밥 팔머는 “무엇보다 환자자신들이 변화하길 원하고는 있으나 지속적이며 집중적인 치료 없이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자신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하면서 “식사장애는 조절에 관한 것이다. 환자들은 그들 자신을 위해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이 질환은 매우 복잡하다. 따라서 치료를 위해서는 한가지 이상의 접근방법이 요구된다. 보통 철저한 관리하에 행해지는 재급식 프로그램이 개인적인 정신심리요법 또는 가족요법과 함께 진행된다. 그러나 재급식 프로그램이 만병통치약은 아니다. 무엇보다 이 프로그램은 목표만큼 과정이 중요하다. 또한 목표체중에 도달한 후 지속적으로 정신심리요법을 받아야 한다. 목표 체중에 도달하는 것으로 병이 완치된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오히려 프로그램의 효과가 너무 빨리 나타날 경우 더 위험할 수도 있다. 갑작스러운 몸무게 증가는 약해진 환자의 심장에 지나친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카렌의 경우가 그랬다. 1982년 가을 카렌은 뉴욕에 있는 레녹스 힐 병원에 입원했고 몸무게는 13. 5킬로그램이나 늘어났다. 많은 사람들은 이를 보고 너무 빠르다고 말했다. 1년 동안 치료를 받은 후 카렌은 캘리포니아로 돌아왔다. 1983년 2월 1일, 그녀는 동생 리차드와 함께 저녁을 먹으로 갔다. 카렌은 열정적으로 먹었다. 또한 카렌은 이틀 후 그녀의 부모님과 함께 레스토랑에서 새우샐러드를 먹었고 집으로 오는 길에 먹을 것을 사가지고 오기까지 했다. 그녀의 엄마는 매우 기뻤다. 그러나 이러한 짧은 만남이 살아있는 그녀와의 마지막이었다는 걸 동생 리차드도 엄마도 몰랐다. 다음날 아침, 카렌의 엄마는 바닥에 누워있는 그녀를 발견했다. 곧 “카렌 카펜터는 심장마비로 9시 51분에 다우니 지역병원에서 사망했다”는 사실이 방송과 신문에 발표됐다. 그녀나이 32세였다.

<font color="#009999">▣ 신경성 식욕부진증의 진단기준(미정신과학회진단기준, 1994)</font>
<ul>
<li>연령과 신장을 고려한 최소한의 정상체중이나 그 이상의 체중유지를 거부한다
<li>낮은 체중임에도 불구하고 체중증가와 비만에 대한 극심한 두려움을 가지고 있다.
<li>자신의 체중과 체형을 왜곡되게 여기고, 체중과 체형이 자기평가에 지나치게 영향을 미치며 현재의 낮은 체중의 심각성을 부인한다.
<li>3개월동안 연속적으로 월경이 없다.
</ul>
<font color="#999900">신경성 식욕부진은 두가지 유형으로 나뉜다. 제한형과 폭식/제거형이 그것. 제한형은 신경성 식욕부진증상을 보이는 도중 규칙적인 폭식 이나 제거행동이 없는 경우이다. 즉, 아주 소량먹거나 거의 굶다시피 하는 행동이 반복되는 경우이다. 폭식/제거형은 신경성 식욕부진증을 나타내는 동시에 규칙적으로 폭식한 후 토해 내거나 이뇨제 등을 남용하는 것을 말한다. </font>

채윤정기자 (yjchae@kimsonline.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