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투명하고 공개적인 방역으로 사회경제적 파급 최소화”

중앙일보

입력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한국 정부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응과 관련해 “투명하고 공개적인 방역으로 사회 경제적 파급 효과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고 13일 말했다. 이날 오후 프랑스 공영방송 ‘프랑스 24’와 진행된 인터뷰에서다.

프랑스 TV와 인터뷰 “이동의 자유 존중” #北 확진자 0명 주장에 “불투명한 국가”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 합동브리핑룸에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세종대로 정부서울청사 합동브리핑룸에서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대국민 담화문을 발표하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코로나19 사태 이후 강 장관이 외신 인터뷰에 나선 것은 지난달 15일(현지시간) 영국 BBC 방송에 이어 두번째다.

 강 장관은 한국의 코로나19 대응 역량을 묻는 질문에 “정부의 (국정) 철학이기도 하지만 최근에 한국이 겪은 경험에 대한 성찰에서 출발했다”며 2014년 세월호 참사와 2015년 메르스(MERSㆍ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를 차례로 언급했다.

 강 장관은 “세월호 참사 당시 정부의 대응이 부적절한 탓에 304명이 숨졌다”면서 “2015년 메르스 사태 때도 당시 불투명했던 정부 대응이 비판을 받아 빠른 대응을 할 준비가 돼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래서 정부는 초기부터 재난상황에 신속하고 선제적으로 행동할 준비가 돼 있었다"며 "앞으로도 단호히 투명하고 개방적인 대응을 해나가겠다"고 강조했다.

 강 장관은 해외 유입 확진자가 급증하는 것과 관련해 정부가 더 강력한 조치를 취할 것인지 묻는 질문에는 “정부의 원칙은 개방성”이라며 “사람들의 이동권을 존중한다는 원칙을 갖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정부가 밀집한 공간에 가지 말라고 강력하게 권고하고 있지만, 이동권을 제한하진 않는다”며 “강제 봉쇄는 정부 원칙에 반한다”고 말했다.

 강 장관은 “모든 해외 입국자를 14일간 자가 또는 시설 격리해 모니터링과 필요시 진단검사, 병원 치료 등을 하고 있지만 원칙은 개방성을 유지하는 것”이라며 “대구ㆍ경북 지역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할 때도 봉쇄하지 않았다”고도 말했다.

 강 장관은 북한이 코로나19 확진자가 0명이라고 주장하는데 대해 “그것이 공식 입장이긴 하지만 감안해 들을 필요가 있다”며 “북한은 불투명하고 폐쇄된 국가인 만큼 정보를 얻기 어렵다”고 말했다. 강 장관은 그러면서 “정부는 남북 보건 협력을 할 의향이 있고 북한에 제안도 했지만, 아직 아무런 긍정적인 답변을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강 장관은 아울러 한국산 진단키트의 미국 수출과 관련해 “지난달 한·미 정상 간 통화를 계기로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신속하게 사전 승인을 했다”며 “미국뿐 아니라 다른 국가에도 많은 진단키트를 보내고 있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이날 코로나19 진단키트 생산업체 2곳의 제품이 14일 미국으로 운송된다고 밝혔다. 앞서 사전 허가를 받았던 3개 업체중 나머지 1개 업체는 미국에 있는 대리점을 통해 물량이 공급될 예정이다.

 위문희 기자 moonbright@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