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값 못하는 생산성…임금 상승률의 절반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1면

근로자들의 생산성은 별로 높아지지 않은 가운데 임금만 크게 올라 기업 경쟁력이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자원부와 한국생산성본부가 6일 발표한 '2003년 2분기 노동생산성 동향'에 따르면 올 2분기 노동생산성지수는 111.3으로 나타나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4.3% 증가하는 데 그쳤다.

이 수치는 1분기(3%)보다는 높지만 지난해 평균인 9.2%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것이다.

노동생산성지수란 산출량을 노동 투입량으로 나눠 지수화한 것으로 2000년 지수를 100으로 잡아 분기마다 발표한다.

올 들어 노동생산성 증가가 둔화된 것은 일을 하는 근로자의 수와 근무시간은 거의 차이가 없는데 생산된 제품은 크게 줄었기 때문이다.

산업생산은 지난해 평균 8.3% 증가했지만 올 들어 1분기 5.8%에 그친 데 이어 2분기에는 2.9% 성장에 머물렀다. 특히 경기침체로 내수 판매가 크게 위축된 데다 국내 기계수주.설비투자 등 투자가 감소하면서 산업생산이 전체적으로 부진했다.

부문별로는 내수와 관련이 큰 경공업이 -3%를 기록했고 의복.모피(-15.7%), 출판.인쇄(-10.2%), 섬유(-5.6%) 등의 산업생산이 마이너스를 나타냈다

반면 시간당 임금 증가율은 노동생산성 증가율의 두 배가 넘는 8.7%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단위 노동비용(노동비용/산출량)이 크게 늘어 기업의 채산성이 떨어졌다.

특히 의복(28.8%).출판인쇄(20.9%).가방신발(20%) 업종 등은 단위 노동비용이 20%를 넘어 경쟁력이 크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김종윤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