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박장애도 수술치료

중앙일보

입력

끊임없이 손씻기를 되풀이하거나 집문을 나서면서 수십번도 넘게 문 잠그기를 반복하는 강박장애 환자. 이들 중 40% 정도는 약물치료와 인지행동치료로도 낫지 않는 난치성환자들인데 이들을 수술적 방법을 통해 안전하게 치료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연세의대 난치성강박장애치료팀(신촌세브란스병원 신경외과 장진우·정상섭·핵의학과 이종두·영동세브란스병원 정신과 김찬형·이홍식 교수)은 정상적인 사회생활이 불가능했던 난치성 강박장애환자 2명을 수술을 통해 정상적인 사회생활에 복귀시켰다고 밝혔다.

강박신경증은 지금까지 의학적으로 전두엽부위와 기정핵 부위의 뇌기능장애가 한 원인으로 추정돼왔지만 이런 추정을 뒷받침할 만한 명확한 검사방법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어왔다.

이 연구팀은 이런 맹점을 보완할 진단용 소프트웨어를 국내에서 처음으로 개발, 난치성 강박장애환자의 전두엽내의 대상회 부위에서 정상인보다 혈류가 과도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해냈다. 혈류가 크게 증가한다는 것은 그 부위가 과도하게 활성화돼 있다는 의미로 강박장애에서처럼 특정한 행동이나 생각을 반복한다든지 하는 이상을 유발하게 하는 원인이 되는 부위라고 추정할 수 있다.

정확한 진단이 얻어지면 다음은 MRI를 통해 병소부위의 정확한 위치를 확인한 후 머리에 낸 면 mm의 작은 구멍을 통해 병소부위을 정확히 응고시켜 필요이상의 과다한 활동이 일아나지 않도록 만들어 주는데 국소마취로 환자와 대화하며 수술을 시행하며 일주일만 입원하면 된다.

장진우교수는 "이전에 딱히 치료법이 없어 자포자기했던 난치성 강박장애환자들에게 치료하면 나을 수 있는 길이 열렸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며 "기존의 의학적 추론을 뒷받침해주는 정확한 진단법의 개발과 함께 뇌수술이 정말로 필요한 경우에만 적용될 수 있도록 엄격한 규약을 만들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영숙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