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혈압의 식사요법

중앙일보

입력

1.고혈압이란

혈압이란 혈관 내에서 혈액이 흐를 때 혈관 벽에 나타나는 압력을 말하며, 일반적으로 혈압이라 하면 동맥혈압을 말한다. 혈압은 심장이 수축할 때의 혈압인 최대혈압과 확장할 때의 혈압인 최소혈압을 측정한다. 혈압은 늘 일정하지는 않다. 건강한 사람에 있어서의 혈압도 아침에는 낮고 오후에는 높아지며, 운동, 식사나 추위 등으로 올라가고 잠을 자면 떨어진다. 또한 나이가 많아질수록 혈압은 상승하고, 폐경 이전의 여성은 남성보다 혈압이 낮으나 폐경 이후(갱년기)에는 남성보다도 급격히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서 정한 혈압의 기준은 다음과 같다.
고혈압이란 최대혈압이 160mmHg이상, 최저혈압이 96mmHg이상 이며, 경계고혈압은 최대혈압이 140 ~ 150 mmHg, 최저혈압이 90 ~ 94 mmHg이다. 정상혈압은 최대혈압이 130mmHg이하, 최저혈압이 80mmHg 이하이다.

혈압은 보통 상박동맥에서 측정한 혈압을 말하며, 정상성인의 평균은 최대혈압이 120㎜Hg, 최소혈압이 80㎜Hg이다. 어떤 원인이든 간에 혈압이 높아져서 정상치로 내려가지 않으면 고혈압이라 한다.

고혈압에는 본태성 고혈압과 속발성 고혈압이 있다. 속발성 고혈압은 신장병, 부신의 이상 등 병의 원인이 뚜렷하므로 원인을 치료하면 치료가능한 고혈압이지만, 본태성 고혈압은 그 원인을 잘 모르므로 정신적 안정, 약물요법과 식사요법 등을 통해 조절한다. 보통 발생하는 고혈압의 85∼90%가 본태성 고혈압이다.

고혈압의 원인은 유전, 정신적 스트레스, 나트륨의 섭취과다, 비만 및 운동부족 등을 들 수 있다.
고혈압은 처음에는 자각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나 어느 정도의 기간이 지나면(몇 달, 혹은 몇 년) 두통, 이명(귀 울림), 어지러움과 숨이 차는 현상이 생기고, 심해지면 뇌졸증으로 인해 중풍이 오거나 심부전 증 또는 신부전증 등으로 인해 사망하게 된다.
따라서 고혈압 환자는 약물요법과 식사요법을 꾸준히 시행해야 한다.

2.고혈압의 식사요법

① 열량 : 본 태성 고혈압 환자는 비만인 경우가 많다. 따라서 섭취열량을 제한하여 정상체중을 유지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체중이 감소되면 혈압도 낮아지므로 단계적 감량식으로 천천히 체중을 감소시킨다.

② 식염제한 : 식염섭취의 제한이 고혈압과 심장병 환자에게 필요하다는 것은 이미 잘 알려져 있다. 혈압을 상승시키는 작용은 소금 중에 들어 있는 나트륨이며, 나트륨은 소금 뿐만 아니라 육·어류나 채소 류에도 들어 있으므로 고혈압 환자는 소금은 물론 나트륨이 함유된 식품의 사용도 줄여야 한다,

③ 동물성 지방 및 콜레스테롤 : 비만이면서 고혈압인 사람은 동맥경화증 및 고지혈증의 발병 위험이 높으므로 포화지방산과 콜레스테롤 함량이 높은 육류, 해산물, 달걀 및 동물성 기름의 사용을 줄이고 식물성 기름의 사용을 늘린다.

④ 술 : 술과 고혈압과의 관계는 분명하지 않지만, 애주가에게 고혈압이나 뇌졸증의 발생빈도가 높다는 것과 알코올이 위나 간에 미치는 영향이나 체중증가와의 관계 등을 고려할 때 제한할 필요가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