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십견

중앙일보

입력

팔이 올라가지 않거나 뒤로 돌아가지 않는 경우에 흔히 오십견이라고 말 하게 되는데, 사실 오십견은 병명이라기 보다는 어깨 관절 주위의 질병에 의하여 나타나는 증상을 지칭하는 말이다. 특히 노인성변화를 바탕으로 하여 남성이든 여성이든 50대의 사람들에게 압도적으로 많이 발생하기 때문에 오십견(五十肩)이라는 명칭이 붙게 되었다.

견관절 주위에는 어깨를 움직이기 위한 여러가지 근육이나 인대가 붙어있 는데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부분적으로 이들 각 부위에 노인성 변화가 진 행되기 때문에 통증을 유발하는 것이다.

또 견관절에는 관절에 마치 윤활유와 같은 역할을 하는 점액포라는 주머니가 있어 이러한 부위나 인대등에 염증이나 변성(變性)과 같은 변화가 쉽게 일 어나게 된다. 오십견은 이와같은 여러가자 변화가 겹쳐서 일어나는 것이다.

오십견의 특징으로는 어깨의 통증때문에 견관절을 움직이지 못한면서, 어 깨주위의 근육도 점점 굳어져 활동에 지장을 주게 되는 악순환이 되풀이 되는 것이다. 통증이 너무 심해지면 머리 빗기도 힘들고, 옷갈아 입기도 어 려우며, 문 손잡이도 못돌리고, 운전도 못할 정도가 된다.

한의학적으로 어깨는 6개의 경럭이 통과하는 부위로, 이들 경락이 통과하는 부위로, 이들 경락에 한(寒), 습(濕),담(痰)등이 울체되어 기혈의 순환을 방 해하면 동통이 발생하게 된다.

치료에 있어서는 환자의 체질에 따라 허실을 감별하고 주된 원인을 찾아 내어 손상된 경락의 기혈을 소통시키는 것이 관건인데, 약물치료 및 침구치료와 더불어 물리치료를 실시하여 견관절이 굳어지는 것을 방지하여야 한다.

오십견이 급격하게 발생하였을때는 한동안 안정이 가장 중요하며, 또 뜨 거운 수건으로 찜질을 하든지 목욕을 하여 몸을 따뜻하게 하는 것도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된다.

그러나 오십견은 통증과 함께 관절의 운동이 제한을 받게 되므로, 어느정도 통증이 완화되었으면 아프지 않을 정도로 자신의 팔을 여러방향으로 움직 이는 체조가 필요하다. 집에서 간단히 할 수 있는 체조로는 아프지 않은 쪽 의 손으로 책상을 짚고 몸을 앞으로 약간 구부린 후 아픈쪽 손에 다리미를 들고 앞뒤로 흔드는 방법이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